사회복지사인 나는 227

직업적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차이(가설 1-3)

가설 1-3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하위영역 즉, 전문조직의 활용, 공공서비스 신념, 자기규제 신념, 직업소명의식, 자율성 신념이 사회복지사 자격급수, 근무시설유형, 직위, 근무경력 등 직업적 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석결과는 ..

지역별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차이(가설 1-2)

가설 1-2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전문직업적 정체성 하위영역 즉, 전문조직의 활용, 공공서비스 신념, 자기규제 신념, 직업소명의식, 자율성 신념에 대해 사회복지사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활동하고 있는지, 타 15개시․도에서 활동하고 있는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차이 (가설 1)

가설 1은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측정할 수 있는 전문조직의 활용, 공공서비스 신념, 자기규제신념, 직업소명의식, 자율성 신념 영역에 대해 사회복지사의 성별, 결혼, 연령, 학력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다른지와, 지역별로 즉,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대비 ..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사회행동에 관한 연구 (조사 대상자 일반적 사항)

<표Ⅳ-1〉은 본 실증분석에서 이용한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 및 업무관련 특성 변수에 따라 구성비를 정리한 것이다. 먼저 성별을 보면, 응답자의 61.6%(199명)가 여성이고, 기혼자가 50.2%이며, 연령별로는 29세 이하가 35.3%, 30-39세가 39.3%, 40-49세가 19.5%이고, 종교별로는 기독교가 31.9%, 천..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사회행동에 관한 연구(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표 Ⅲ-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인구통계적 특성, 직업적 특성 등)에 대한 9문항, 전문직 정체성을 측정하기 위한 38문항, 사회행동 성향․전략선호도․실천행위에 대한 16문항, 총 3개영역 63문항으로 설문지가 구성되었다. 1. 조작적 정의 및 측..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사회행동에 관한 연구(연구모형과 가설)

(1) 연구모형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근무 사회복지사와 타 15개 시․도 사회복지사 대상으로 전문직업적 정체성 및 사회행동 실태를 파악하고, 사회복지사의 개인특성변인과 직업적 특성변인 및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제주..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사회행동에 관한 연구(개념-사회행동)

(1) 사회행동의 개념 사회행동(social action)은 지역주민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에 대해 자신들의 통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집단적인 노력, 다수의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사회문제에 바람직한 사회변화를 가져오며, 그와 같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활동의 과정,..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사회행동에 관한 연구 (개념 - 전문직업적 정체성)

(1) 전문직의 개념과 속성 전문직은 영어의 profession의 번역어로서 그것은 profess(공언하다, 신앙적 교리를 간증하다)라는 말에서 비롯되었다. 즉, 다른 사람은 할 수 없거나 하더라도 불완전하게 하는 것을 나만이 완전하게 할 수 있다고 공언하는 데서 나온 말(한상훈, 1997 : 115 ; 권은숙, 1999 : 8 재인용)로써, 전문성을 가진 직업 혹은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하기도 하고, 높은 학문적 지식체계를 바탕으로 전문적 기술을 보유함으로써, 상당한 사회적 권한과 높은 사회적 지위를 누리는 특성을 지닌 형태의 직업(박종우, 1994 ; 이지은, 2002 ; 박용오, 2003 : 25 재인용)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전문직의 개념이나 기준은 시대에 따라 달라져 왔을..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사회행동에 관한 연구 (선행연구)

1.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관한 선행 연구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것들이 대부분으로 박정은(2006), 정무성․백은령․이거우(2005), 신원식․이경은(2005), 박용오(2003), 박승규(2001), 안..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사회행동에 관한 연구 (연구 목적)

우리나라 사회복지사업은 해방 이후 한국전쟁으로 사회복지사업은 전쟁고아, 미망인 등을 위한 시설보호 및 구호사업에서 1960년대 이후로 영세민 및 가출아, 1970년대 이후는 생활보호와 입양사업 등이, 1980년대에는 장애인복지 및 사회복지관사업 등이 중요한 사업으로 대두되었다(정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