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인 나는245

(사상 170) 논리적 사고, 사회복지영역의 필수적 능력 1. 들어가며 비즈니스 세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2가지 능력이 있다. 그것은 바로 소통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이다. 그런데 이 2가지 능력은 모두 논리적 사고(logical thinking, 論理的思考)를 그 근간으로 한다. 첫째, 조직은 이념과 가치관이 다른 사람들이 함께 일하는 곳이다. 그렇기에 회의, 협상, 업무에서 논리적인 사고력이 뒷받침되지 못한다면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힘들다. 둘째, 조직에서 업무 수행 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문제해결 능력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빠른 방법은 지금까지 자신이 경험한 성공과 실패를 바탕으로 현상을 타개할 힌트를 떠올리는 것이다. 이때 문제의 핵심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강구하기 위해서는 논리적인 사고방식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제 정공법과 성.. 2023. 3. 8.
(사상 169) 사회복지사의 책무&권리 2023. 3. 7.
(사상168) 무위지치(無爲之治) 실천하는 사회복지사가 되자. ‘정관정요’를 읽다가 노자의 무위지치無爲之治 사상을 접하였다. 無爲之治라... 노자의 도덕경 전체를 관통하는 개념이 바로 도道와 무위無爲이기에 ‘군주의 德이 자연스럽게 백성을 교화해 억지로 다스리지 않아도 저절로 다스려지는 것’이라는 의미를 갖는 無爲之治는 노자 사상의 핵심 중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노자의 無爲之治 사상은 현대인인 우리에게, 행복한 조직생활을 추구하는 여러분에게, 사회복지현장가인 나와 당신에게 어떤 영감을 안겨다줄까. 가. 노자의 自然과 無爲 노자 사상에서 自然이란 물리세계의 자연이나 서양 철학의 자연주의가 아니다. 바로 자유자재(自由自在)하고, 스스로 그러하고[自己如此(자기여차)], 무엇에도 의존하지 않는 정신의 독립이며, 사물의 실상과 합일로써 얻어지는 정신적.. 2022. 6. 15.
(사상 167) 덕치(德治)와 사회복지사 원불교대사전에 의하면,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으로는 정치(政治)ㆍ도치(道治)ㆍ덕치(德治)의 세 가지가 있다고 한다. 이 중 덕치(德治)는 인간이 덕(德)으로 천하를 다스리는 – 덕으로 사람들을 교화하고 지도함 – 덕치주의(예: 선정덕치(善政德治))를 통칭한다. 그리고 본 덕치(德治)는 그 구현 모습에 따라 아래와 같이 ‘최상의 덕치, 차상의 덕치, 최하의 방책’으로 나뉜다고 한다. ① 최상의 덕치 . 시민을 존중함. 시민의 행복을 위해 내가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에 집중함. 즉, 시민을 위해 내가 존재함을 생각함. . 기회에 올라타 위험에 빠진 백성을 구하고자 함. . 상사인 나의 안락함보다 부하직원의 편안함을 추구함. . 사상을 바탕으로 언행의 실천에 있어 조직원의 모범이 됨. . 군주의 덕이 백성들에게.. 2022. 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