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 1-2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전문직업적 정체성 하위영역 즉, 전문조직의 활용, 공공서비스 신념, 자기규제 신념, 직업소명의식, 자율성 신념에 대해 사회복지사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활동하고 있는지, 타 15개시․도에서 활동하고 있는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석결과는 〈표Ⅴ-7〉과 같다.
〈표Ⅳ-7〉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조직의 활용, 공공서비스 신념, 자기규제 신념, 직업소명의식, 자율성 신념이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와 타 15개시․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제주특별자치도와 타 15개시․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M=3.84)는 타 15개시․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M=4.04)에 비해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전문직업적 정체성 하위영역별로 근무지역별 사회복지사간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면, 자율성 신념을 제외하고 전문조직의 활용, 공공서비스 신념, 자기규제신념, 직업소명의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제가 2007년도에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관한 논문을 준비할 때 '육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와 제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사이에 정체성에 대한 인식차가 존재할 것'이라고 어느 정도의 확신을 가지고 조사를 했었는데... 결과적으로는 맞아 떨어진 자료랍니다.
그래서 그 이후로 현장 사회복지사들을 만나면 본 결과에 대해 얘기를 하곤 한답니다,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키우라고... 아쉬움이 있다면 육지를 '서울경기권, 충청권, 전라권'으로 나눠 분석하지 못했던 부분이랍니다. 벌써 7년이 지났는데... 지금은 그 갭(gap)이 어느만큼 좁혀졌는지 정말 궁금해요~!
'사회복지사인 나는 > 논문- 사회복지사 전문 직업 정체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의 차이(가설 1) (0) | 2014.08.28 |
---|---|
직업적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차이(가설 1-3) (0) | 2014.08.28 |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차이 (가설 1) (0) | 2014.08.28 |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사회행동에 관한 연구 (조사 대상자 일반적 사항) (0) | 2014.08.28 |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사회행동에 관한 연구(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분석방법) (0) | 201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