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인 나는/논문- 사회복지사 전문 직업 정체성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사회행동에 관한 연구 (선행연구)

강호철 2014. 8. 28. 13:25


1.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관한 선행 연구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것들이 대부분으로 박정은(2006), 정무성백은령이거우(2005), 신원식이경은(2005), 박용오(2003), 박승규(2001), 안수경(2000), 전진호(2000) 등의 연구논문이 있다.

 

박정은(2006)은 대전 지역의 사회복지기관과 시설 등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독립변수인 개인적 속성(직업의식, 자기존중감), 환경적 요인(직무관련 특성요인, 조직관리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에서 성별, 종교, 결혼 상태, 최종학력, 전공, 자격증급수들은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반면에 연령, 소득, 사회복지협회 가입유무, 근무 경력은 유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개인적 속성인 직업의식, 자기존중감, 환경적 요인인 직무관련 특성 요인은 전문직업적 정체성과는 관련이 없으며, 반면에 조직관리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근무경력은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유의미하여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정무성백은령이거우(2005)는 서울경기지역의 장애인복지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독립변수인 개인특성, 조직특성, 조직문화가 종속변수인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장애인복지관 직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수준은 자율성 신념, 직업소명의식, 자체규제 신념, 공공서비스 신념의 순으로 조사되었고, 성별이 여성일수록, 복지관 유형이 종합복지관일수록, 조직문화가 합리문화일수록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고


신원식이경은(2005)Q방법론을 활용한 질적 연구방법으로 경상북도 지역 사회복지관련시설 및 기관의 사회복지사 대상으로 전문직업적 정체성 측정도구를 갖고 사회복지사들의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주관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는데, 그 결과 경북지역 사회복지사들의 주관적 정체성에 대해 현실적 직업주의형, 보수적 소극주의형, 보수적 실용주의형, 진보적 실용주의형, 진보적 전문주의형 등 다섯 가지로 유형화하여 보고하였으며


박용오(2003)는 서울지역 사회복지관에서 1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대상으로 개인특성별 변인과 직무환경특성별 변인을 통제변수로 설정하고 직무만족 하위변인들이 전문직업적 정체성 변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특성별직무환경특성별 요인들은 연령, 직위, 최종전공학력, 자원봉사경험, 취업경로, 결혼상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관의 동료 사회복지사 수, 본인의 주요 담당업무, 본인의 주요 서비스 대상의 13개 변인인 것으로, 독립변수인 직무만족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5개 하위차원 변수인 주요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조직의 활용, 공공서비스 신념, 자체 규제에 대한 신념,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자율성에 대한 신념의 모든 변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박승규(2001)는 서울 지역의 사회복지 기관 30곳을 선정하여 사회복지사 대상으로 독립변수인 근무환경, 조직특성(승진기회), 사회적지지가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하였는데, 개인적 특성에서는 취업경로, 학력 그리고 직위에 있어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고, 근무환경, 조직특성, 사회적지지가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안수경(2000)은 서울시 소재 90개의 종합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일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재교육 및 소진과의 관계 규명을 연구를 하였고,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평균 3.45, 성별, 결혼상태, 교육수준, 근무경력 등의 인구사회적 특성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고,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Pearson 적률상관관계 검증결과 p<.001수준에서 사회복지사의 재교육에 대해서는 r=.306의 관계를, 소진에 대해서는 r=-.314의 역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전진호(2000)는 가톨릭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 대상으로 독립변수인 이타주의, 전문직 특성 인식, 전문교육 효과, 인구사회학적변인이 종속변수인 사회복지 전공학생들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영향을 연구를 하였는데, 사회복지 전공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은 평균 3.51, 사회복지 전공학생들의 이타주의, 전문직 특성 인식은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전문교육 효과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2.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에 관한 선행 연구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이태영(2003)의 연구논문이 있다. 이태영(2003)은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 등록되어 있고 조사 현재 사회복지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 대상으로 실천영역 및 기관변수가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 관련 변수인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의 전략, 사회행동에의 참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와 전문성 관련 변수인 전문성 역할에 대한 성향, 전문적 가치와 규범, 자율성, 개인적 성취욕가 사회행동 하위 변수와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보수적인 전문가집단 모델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려는 연구를 하였는데, 그 결과로는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복지의 주된 대상으로 빈민(18.3%) 대비 81.7%가 사회의 모든 계층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52.7%가 행동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사회복지사들의 행동주의적 성향은 전문성의 정도, 실천대상, 업무내용, 인구사회학적 특성 등과 관련하여 어떠한 차이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사회행동의 전략 및 실천행위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실천대상, 업무내용, 기관의 종류 등의 변수들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보수적인 전문가집단 모델과는 달리 전문성과 관련된 변수들은 일관성이 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였고, 전문적 역할성향이 높은 집단이 대립적 전략에 대한 선호도가 오히려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