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08

맘 새길 명언 - 국민의 소리

2022년 7월 12일(화) 한국일보를 보면, 진중권 "尹지지율 하락 이끈 건 도어스테핑과 이준석 사태"라는 타이틀 하에 CBS라디오 '한판 승부'에 출현한 진중권 동양대 전 교수와의 인터뷰 내용을 기사화해서 싣고 있다. 본 인터뷰에서 진행자가 진중권 교수에게 尹대통령의 도어스테핑 관련해서 "언론이 문제 본질보다 꼬투리를 잡아 질문하는 방식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자 이에 대한 진중권 교수의 아래와 같은 대답이 명언이다. "언론의 질문을 국민의 질문으로 바꿔 생각하는 버릇이 필요하다." 질문의 주체를 '언론'에서 '국민'으로 바꿔보라고 한다. 그 다음에 질문의 가치 혹은 타당성 등을 깊이 생각해보라고 한다. 만약 그 질문이 가치 있다고 판단되면, 싫어도, 귀찮아도 자기 자신을 변화시키라고 한다. 역시 ..

쉼/photo diary 2022.07.12

청년발달장애인의 독립 생활을 함께 도모하자

내가 근무하고 있는 직업재활시설에서 근로활동을 하는 기성발달장애인의 부모와 간담회를 가진 적이 있다. 그 간담회에서 나는 이렇게 질문하였다. "여러분의 자녀가 처음 취업한 날 기쁜마음으로 "축하한다." 고 격하게 마음 전해주셨습니까." "여러분의 자녀가 첫 출근을 할 때 양복 혹은 구두 등을 선물해 주셨습니까?" "제사 혹은 잔치 등과 같은 경조사 등으로 친척들과 담소 나눌 때 자녀의 취업과 근로활동을 자랑하신적 있으십니까?" "직장을 다니고 있는 여러분 자녀와 언제부터 자립 생활을 시작할 것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대화 나눈 적 있습니까?" "여러분 자녀와 연애와 결혼 등에 대해 얘기 나눈 적 있습니까?" "왜, 부모님은 우리 직업재활시설에서 자녀의 장기근속에 대해서만 걱정하십니까?" 이 글을 읽고 있는 ..

scenery of jeju 8 - 무제

1115번 산록도로... 제주와 서귀포시를 잇는 도로 중 하나이다. 서귀포에서 제주시로 이 도로를 주행하면, 중간에 '광평 입구 사거리'를 만나게 된다. 여기서 직진하지 않고, 한라산 방면으로 우회전하면 광평로로 들어서게 되는데... 오르막 도로를 지나 계속 운전하다 보면 우축으로 아래와 같은 풍경을 접하게 된다. 병풍처럼 펼쳐진 나무 사이로 파아란 하늘과 초록의 풀밭 그리고 그 가운데 한라산 보이는 풍경이다. 맑은 날씨에 가보면 편안하고도 시원한 느낌을 안겨다 준다. 혹, 1115번 산록도로를 운전하게 된다면, 잠시 짬을 내어 이곳을 방문해 스트레스 풀어보길 추천한다.

쉼/photo diary 2022.06.24

행복의 길 5 - '행복한 나'의 체계도

'행복'이란 무엇일까?! '행복'의 모습은 어떨까?! '행복'의 출발점은 어디일까?! '행복'의 도착점은 어디일까?! '행복'의 과정은 어떨까?! “좀 오래 걸리더라도, 문제의 현상이 아닌 본질을 꿰뚫어 봐. 그게 더 빠른 길이다.” [발췌] 인생은 행복을 배우는 과정이 아닐까요? - 데일리투머로우 (dailytw.kr) 인생은 행복을 배우는 과정이 아닐까요? - 데일리투머로우 ‘해방’이란 구속이나 억압, 부담 따위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을 뜻한다. 일상에서는 자주 쓰지 않던 이 단어가 최근 SNS와 각종 미디어에서 자주... www.dailytw.kr [샐러리맨 30년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9) 탁월함에 필요한 비법 :: 한국무역신문, 주간무역, 한국무역의 길잡이 한국무역신문 (..

(사상168) 무위지치(無爲之治) 실천하는 사회복지사가 되자.

‘정관정요’를 읽다가 노자의 무위지치無爲之治 사상을 접하였다. 無爲之治라... 노자의 도덕경 전체를 관통하는 개념이 바로 도道와 무위無爲이기에 ‘군주의 德이 자연스럽게 백성을 교화해 억지로 다스리지 않아도 저절로 다스려지는 것’이라는 의미를 갖는 無爲之治는 노자 사상의 핵심 중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노자의 無爲之治 사상은 현대인인 우리에게, 행복한 조직생활을 추구하는 여러분에게, 사회복지현장가인 나와 당신에게 어떤 영감을 안겨다줄까. 가. 노자의 自然과 無爲 노자 사상에서 自然이란 물리세계의 자연이나 서양 철학의 자연주의가 아니다. 바로 자유자재(自由自在)하고, 스스로 그러하고[自己如此(자기여차)], 무엇에도 의존하지 않는 정신의 독립이며, 사물의 실상과 합일로써 얻어지는 정신적..

발달장애인 인권교육 교재(안) 3

필자는 '기성 발달장애인 대상 인권교육'시에 (1) 인권이라는 개념에 대해 현실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모(인권-인간다운 삶-행복한 삶의 연동) (2) 관계 차원에서 인간다운 삶의 핵심 키워드인 '자유'라는 개념에 대한 이해 도모 (3) 자유 구현 차원에서의 '선택, 즉 자기결정'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 도모 (4) 결론적으로 인간은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을 바탕으로 선택적 자유로운 삶을 영위하고자 노력할 때 행복을 느낄수 있는 존재임을 그릭고 이와 같은 삶의 자세가 보장되는 것이 바로 인권의 존재가치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모 하는 것을 목표로해서 접근한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나와 나, 나와 타인이라는 관계 속에서 인권의 개념과 존재 가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도모함에 초점을 맞춘다.'..

(근로) 발달장애인 인권교육 교재(안) 2

1. 행복한 삶을 추구하자. (10분) [대화1] ‘행복’이란 무엇일까요. -> 생활 속에서 기쁘고 즐겁고 만족을 느끼는 것이에요. 누구나 행복을 꿈꾼다. 나도 꿈꾸고, 여러분 각자도 꿈꾼다. 행복이라는 의미를 생각하기 전에 행복이 어디에 존재하는지에 대해 잠시 생각해보자 만약 이 세상에 나 혼자 살고 있다면, 나는 과연 행복할까. 처음에는 내 마음대로 할 수 있어서 행복해하겠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외로움이 커져갈 것이고 이에 비례해서 행복감은 떨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즉, 행복은 바로 나와 이웃과의 관계 속에 존재하기 때문에 그렇다. 달리 표현하면, 나와 친구 사이의 관계가 바로 행복의 씨앗을 뿌리는 밭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행복을 논할 때 ‘관계’를 빼놓고서는 얘기할 수 없는 것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