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10

2014 장애인복지관 평가지표(안)에 대한 생각

2014년도 장애인복지관 평가지표(안)을 살펴본 나의 느낌을 '긍정과 미흡'으로 구분, 정리해보았다. (긍정) 1. 평가지표가 96개에서 57개로 축소 2. A/B/C영역(시설 및 환경/재정 및 조직운영/인적자원관리) 복지관 운영 중심화 3. D영역 공통과 필수선택 그리고 특성화사업 형태의 배치 4. D영역 지표 공통화 5. E영역 간결, 핵심화 (미흡) 1. 평가 대상 제외 사업 영역을 만드는 이유를 모르겠음. (*복지관별로 '특화'라는 측면을 너무 협소하게 적용하려고 하는 것은 아닌가? 특성화사업으로 선택하게끔 유도해도 될 부분인데...) 2. 복지관 유형별 사업선택 기준표 대비 '종합복지관'의 경우 '특성화사업'을 1개 영역으로 제한하는 부분(*본 영역의 선택이 많아져도 문제이지만 2-3개 선택할 ..

(사상) 사회복지현장실습 아이디어

6월24일부터 사회복지 현장 실습생이 온다. 어떻게 하면 알찬 실습을 제공해줄 수 있을까? 고민하던 차에... "실습을 담당했던 직원분들과 회의를 합시다."라는 제안을 하고 3명의 담당직원과 브레인스토밍을 하기 시작했다. 우리 복지관의 실습 강점이 무엇인지... 우리 복지관의 기존 실습시스템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실습담당했던 직원으로서 어떤 실습시스템을 원하는지... 어떻게 하면 실습생이 만족스러워할 것인지...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 그래서 도출한 기획 상품이 다음과 같이 10가지 입니다. 1. 실습생을 중심으로 '팀'을 만들어주자. 2. 팀에 역할을 부여하자(1차적으로 on-Off line PR팀으로 설정). 3. 팀장과 대리 그리고 팀원의 역할을 부여하자. 4. 일일 실습활동을 '..

2014년 장애인복지관 평가지표(안)을 살펴보며...

ㅎㅎㅎ 벌써 2년전이다. 2011년 6월에 장애인복지관 평가지표(안) 공청회에 참석했다가 느낀 점을 페이스북에 올렸었는데, 전진호 국장님이 '웰페어뉴스'에 기사화해도 되겠느냐고 요청하자 흔쾌히(?) OK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문뜩, 그 때 "내가 제안했던 내용들이 어느 정도 이번 평가 지표(안)에 반영되었을까?"하고 궁금해서 웰페어뉴스에서 기사를 열고 대충 비교분석을 해보았다. 2년 전 주장(?)했던 내용이 7가지 유형이었던 같다. 1. 4회까지 평가지표가 복지관 운영 또는 사업관련 지침을 평가지표화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를 탈피하여 - 평가의 목적을 재설정 - 지역사회재활센터로서 지역사회복지증진을 위한 복지관의 기능과 역할을 점검, 측정 및 제시할 수 있는 형태의 평가지표가 연구, 개발되었으면 좋겠다. ..

전략경영자가 되기 위해서는 현실적 낙관주의가 되라!

스톡데일 패러독스(Stockdale Paradox)란 '냉혹한 현실을 냉정하게 받아들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최종 승리에 대한 흔들림 없는 믿음을 가지고 냉혹한 현실을 이겨내는 이중성' 을 말한다. 스톡데일 패러독스는 베트남 전쟁 당시 포로 수용소에 수감되어 8년 동안 갇혀 있었던 미군 최고위 ..

내 맘대로 골라 즐기는 록페스티벌

우연히 읽게 된 제주일보의 기사가 정말 마음에 듭니다. 사회복지분야에서도 충분히 반영이 가능한 사업형태가 아닐까? ----------------------------------------------------------------------------------------------------------------------------------------- ‘내 맘대로 골라 즐기는' 록페스티벌 제주바람, 10월 11~13일 ..

사회복지계와 사회복지인이 먼저 변화해야 한다.

나는 앞으로 사회복지계는 '고객만족'을 실현시키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쏟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졌다고 말하고 싶다. 그 이유는 경영적 관점에서의 고객만족이 더 이상 '서비스의 참신성과 질'에 국한되어지는 양상을 넘어서고 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즉, 고객과 지역주민의 ..

고객만족 관점에서 자조회(동우회) 조직, 운영사업 추진시 고민해야 할 점

(고객만족경영의 출발점) 고객은 자신이 기대한 바 대비 고객이 실제 지각한 서비스 품질의 차이로 가치를 느낀다. (고객만족 3대 요소) 상품 + 서비스 + 이미지 (고객의 정의) 가치생산고객 -> 가치전달고객 -> 가치구매고객 Ⅰ 우리 복지관 자조회(동우회) 고객은 누구? -가치생산고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