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공동체 조성을 위하여 263

악질 블랙컨슈머 '착한 손님' 울린다

고가 의류·보석 쓰고 반품음식에 이물질 넣고 보상 요구… 기업 가격 인상 부추기고정당한 불만 제기도 오해일반 소비자까지 피해 떠안아 정수기회사 ㄱ사는 얼마전 '똥물을 먹었다'는 항의전화를 받았다. 이 회사 고객 불만 담당자는 "한달 한번 점검을 해야 하는 데, 날짜가 정해져 있..

역발상의 경제학… 고객 쓴소리 경청 ‘서비스 質’ 높였다

ㆍCJ오쇼핑 “반품 잦은 블랙컨슈머, VIP로 모십니다” CJ오쇼핑이 일명 ‘블랙컨슈머’를 ‘VIP’로 모시는 역발상 경영을 통해 재미를 보고 있다. 블랙컨슈머는 홈쇼핑 업계의 은어로 반품이 잦거나 불평 불만이 많은 고객들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홈쇼핑업계마다 ‘블랙리스트’를 만..

성폭력 피해 여성장애인 40%가 10대, 제주

최근 10년간 도내 여성장애인 257명이 성폭력 피해를 당한 가운데 피해자의 40%는 19세 미만 아동·청소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제주여성장애인상담소에 따르면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상담소에 접수된 성폭력 상담 2005건 가운데 실제 피해사례는 257건으로 집계됐다. 성폭력 피해..

전국지자체 공약이행률 평가. 제주, 50% 수준… 전국 15개 시도중 9위로 하위권

민선5기 우근민 도정의 장애인 공약이 '반쪽 공약'에 그쳤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과 지방선거장애인연대가 18일 밝힌 민선 5기 광역자치단체장의 장애인 공약 이행 상황 중간평가 결과에 따르면 우근민 도정의 장애인 공약실천율은 50%. 전국 평균 이행률 57%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단체장 취임이 1년 지나지 않은 경남과 세종을 제외한 전국 15개 광역자치단체 중 9위를 기록했다. 우 도정이 내건 장애인 공약은 총 10개. 이 중 장애인재활센터 확충 및 프로그램 지원,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지원확대로 재활복지환경 조성, 재활공학서비스지원센터 설립 및 재활보조기구 대여, 장애인교통수당 지원 확대, 장애인체육 활성화 지원 등 5개는 '매우 우수'평가를 받았다. 장애인 전용체육관 건립은 '우수', 공공기관 장애인 의무고..

2014 장애인복지관 평가지표(안)에 대한 생각

2014년도 장애인복지관 평가지표(안)을 살펴본 나의 느낌을 '긍정과 미흡'으로 구분, 정리해보았다. (긍정) 1. 평가지표가 96개에서 57개로 축소 2. A/B/C영역(시설 및 환경/재정 및 조직운영/인적자원관리) 복지관 운영 중심화 3. D영역 공통과 필수선택 그리고 특성화사업 형태의 배치 4. D영역 지표 공통화 5. E영역 간결, 핵심화 (미흡) 1. 평가 대상 제외 사업 영역을 만드는 이유를 모르겠음. (*복지관별로 '특화'라는 측면을 너무 협소하게 적용하려고 하는 것은 아닌가? 특성화사업으로 선택하게끔 유도해도 될 부분인데...) 2. 복지관 유형별 사업선택 기준표 대비 '종합복지관'의 경우 '특성화사업'을 1개 영역으로 제한하는 부분(*본 영역의 선택이 많아져도 문제이지만 2-3개 선택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