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30

복지의 가치와 제 기능과 역할 등에 대한 대수술 필요?!

요즘 우리나라 국민이 사회문제와 관련해서 관심이 증폭되어지고 있는 사안을 두 가지 꼽으라면 첫째는 '피의자의 자수에 대한 경찰 거부'이고 둘째는 '탈북자 모자의 아사'일 것이다. 그런데 상기 2가지 사건 상호간에는 그 어떤 관련성도 공통성도 없는 것일까. 필자의 입장에서는 '관..

(사상) 121. 가치를 창출하는 사회복지사가 되자.

세상은 이음(관계)이다. 이음은(관계는) 현재이며, 미래 즉, 변화다. 그럼 미래인 변화는 무엇인가. 새로운 이음(관계)이며, 곧 새로운 가치 창출, 바로 혁신이다. 그럼 새로운 이음 즉, 혁신의 필수전제조건은 무엇인가. 바로 통찰력과 창의력 그리고 전략이다. 통찰력은 현재의 연결을(관계를) 객관적으로 살피는 능력이다. 창의력은 새로운 연결을(관계를) 구현하는 능력이다. 그럼 전략은 무엇인가. 신구(新舊) 이음(연결)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즉, 고객과 자원의 새로운 연결 관계 구축을 바탕으로 고객가치를 창출하는 능력이다. 그럼 혁신과 전략의 관계는 어떤 모습일까. 아래 그림과 같이 4가지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 여러분 모두 고객을 위해 고객가치창출을 위해 통찰력과 창의력 그리고 전략을 바탕으로 ..

(사상) 120. 권한과 책임을 중시하는 사회복지사가 되자.

우리는 싫든 좋든 하루 일과 속에서 선택과 행동 등을 결정짓고 실천해야 하는 수많은 순간순간과 관계를 맺는 삶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관계로 인해 희노애락을 느끼죠.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 희노애락을 나만 느끼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특정 선택과 행동이라는 실천을 행해야만 하는 이유 또는 목적으로 묶여진 1인 이상의 관계망이 존재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만약 나와 당신의 특정 행동이 타인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갖고 있다면, 버터플라이 이펙트 효과가 그 관계망 안에서 발생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 결과 2차적 희노애락을 나 자신은 우리라는 관계망 안에서 접하게 되는 것이죠. ‘나’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면, 1단계 희노애락 보다는 2단계 희노애락이 나 자신이 느끼는 희노애락의 성..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가치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달리 표현하면, 인간은 관계적 동물인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의 관계행위는 어떤 기준에 의해, 어떤 방법으로, 어떤 형태로 형성되고 있을까. ‘관계’란 흔히 말하는 ‘친구 관계’, ‘친척 관계’, ‘모자 관계’ 등과 같이 두 대상을 짝을 지어 생각하는 것과 관련된 개념이다. 이에 의하면, ‘관계’의 기준은 조상 및 가족(혈연), 교육(학연), 지역사회(지연), 사회적 활동(관심 및 참여) 그리고 사상 및 신념 등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 인간은 사회적으로 어떤 형태의 관계적 차원을 형성, 유지 및 발전시켜나가고 있을까. 아마 아래 그림과 같은 관계망을 구축하고 있을 것이다. (그림1: 인간 관계망) 즉, 사회적 동물인 인간의 관계는 1차적으로 개인, 2차적으로 사회적 관계, 3..

‘사(士), 농(農), 공(工), 상(商)’에서 사회복지의 길을 살피다.

원불교(정산종사 言)에는 인간이 사회를 이루어 생을 영위함에 있어 면할 수 없는 직무요, 피할 수 없는 생명수이며,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인간의 영원불명 업(業)인 ‘4가지 생활 강령’이 있다고 한다, ‘사(士), 농(農), 공(工), 상(商)’이 바로 그것이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21세기 공업화시대에 ‘사(士), 농(農), 공(工), 상(商)’을 생활 강령으로 받아들일 의사가 조금이라도 있는가.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재 시점에 부적절한 논리이다.”라고 웃어넘길 것이다. 그렇지만 조금만 이 4가지 단어의 의미를 인간의 삶과 연결시켜서 생각해보면, 단순명료하면서도 심오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표현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大學(대학)에는 ‘몸과 마음을 닦아 수..

81. '사회복지사 1차 관계망' 소홀히 하지 말자.

우리 사회복지사가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가 무엇일까. ‘고객’이라는 말을 제외하면 ‘관계’라는 단어가 아마 가장 많이 사용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가져본다. 그렇다면 우리 사회복지사는 이 ‘관계’라는 단어를 어떤 측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을까. ‘관계’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