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30 불비지혜 (不費之惠) 불비지혜 (不費之惠) 라는 의미를 갖는 사자성어이다. 이 정도의 의미만 갖는 사자성어일까. 아닐 것이다. 그 정도면 '사자성어'로서 불리울 수 없었겠지. 그럼 어떤 또 다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일까. 를 생각해보자. '은혜를 베푸는데, 나 자신에게 해가 될 것이 없어야 한다.'고 한다. 무슨 뜻일까. '나를 알라.'고, '나를 진정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은 아닐까. 그럼 '진정으로 나를 안다.'는 것은 어떤 상태일까. '나의 존재가치를 안다.'는 것 아닐까. 그럼 '존재가치'는 무엇일까. '관계(나의 제 기능과 역할)'일 것이다. 그럼 '관계'는 무.. 2021. 4. 12. 채움의 미 2021. 3. 16. (사상162) 사회복지사 사회적 지위 향상 및 신분보장-4 1. 들어가며 어떤 생물이 그 생물공동체 안에서 차지하고 있는 지위를 일컬어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 生態的地位)라고 한다. 이와 같은 생태적 지위는 생물공동체 안에서 어떤 생물의 생존, 생장 및 생식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한하는 경계에 의하여 규정된다. 따라서 생태적 지위는 어떤 생물이 ‘어디에 살고 있는가’라는 장소가 아니라 ‘어떻게 살고 있는가’를 설명하는 하나의 개념인 것이다. 그래서 생태적 지위는 자연에서 벌어지는 많은 생태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는 생태학적 사고의 기초 개념이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생태적 지위 [ecological niche] (식물학백과)) 사회라는 일정 조직에 소속되어 삶을 영위하는 인간 역시 .. 2021. 2. 24. (사상161) 사회복지사 사회적 지위 향상 및 신분보장 -3 앞서 올렸던 블로그 글(사상 160)에서 ‘사회화’를 중심으로 알아보았기에, 이어서 여기서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화와 지위 및 역할의 관계를 간단히 정리해보면, 인간의 사회화는 공존을 위해 취하는 보편적 삶의 행태라고 한다면, 사회 안에서의 개인에게 주어진(또는 취득한) 지위와 역할은 보편적 삶의 행태인 사회화의 전략적 실천 모습이라고 할 수 있겠다. 1. 지위(地位)와 역할(役割) 가. 지위(地位) ‘지위(地位)’는 ‘사회적 체제 속에서 특정 구성원이 차지하는 위치의 상대적 가치(relative worth)를 의미한다. 좀 더 쉽게 표현하면, ‘특정 집단 또는 사회조직 등 안에서 개인(個人)이 차지하는 개별적 사회적(社會的) 위치(位置) 또는 자리’인 것이.. 2021. 2. 18. 이전 1 2 3 4 5 6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