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계30

감사하는 마음은 행복의 지름길 우리 인간의 긍정적인 감정은 모두 사회 안에서 싹트고, 사회 안에서 물과 비료를 얻으며, 사회 안에서 자란다.(미하엘 아이드 박사, 심리학과 교수, 베를린대학) 이에 꾸준하게 내 삶의 좋은 면을 생각하고, 그것을 가능케 해준 다른 사람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것, 그것이 바로 행복으로 가는 고속도로이다. 왜냐하면, 현재 나 자신이 누리는 행복은 전적으로 나 한 사람만의 판단과 행동의 결과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행복을 영위하기까지 주변의 도움을 수없이 받았으며, 운도 따랐을 것이다. 눈에 보이는 방식이건 아니건 분명히 타인의 도움이 있었다. 이에 지금 나 자신이 행복하고, 성공적인 인생을 사는 것이 다른 사람들 덕분이고, 마침 좋은 기회를 만났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행복은 이제까지.. 2021. 7. 19.
제대로 알아야, '갑질'하지 않는다~! 1. ‘갑질’은 무엇인가. 계약서상에서 돈을 주고 일을 시키는 당사자와 돈을 받고 일을 하는 상대를 가리키는 일명 갑을(甲乙)관계에서의 ‘갑(甲)’ 또는 차례나 등급을 매길 때 첫째를 이르는 말인 ‘갑(甲)’에 어떤 행동을 뜻하는 접미사인 ‘-질’을 붙여 만든 말로서, 2013년 이후 대한민국 인터넷에 등장한 신조어이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대적 혹은 사회적으로 유리한 위치(예: 우월한 권력, 신분, 지위, 직급, 위치의 우위 등)에 있는 자기 자신의 그 지위를 이용해 권리관계에서 상대적 약자인 상대방(예:을)에게 오만무례하게 행동하거나 이래라저래라 하며 제멋대로 구는 행동, 즉 자신의 방침에 강제로 따르게 하는 부당행위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은 갑질의 범위에는 육체적, 정신적 폭력, 언어 .. 2021. 6. 25.
더 많은 소득이 더 큰 행복을 가져다주지 않는다. 소득과 행복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소득은 중요하다. 하지만 더 많은 소득이 더 큰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니다. 즉, 돈이 많으면 무조건 행복할 것 같아도, 더 많은 돈이 길라잡이가 되어 행복의 나라로 안내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은 일단 기본욕구가 충족되면 다른 가치들에 눈을 돌린다. 자유, 삶의 질, 사람 간의 신뢰, 사회적 위치나 관계 같은 요소가 행복과 불행을 결정한다. 소득은 기본적인 욕구를 채워줄 정도면 충분하다. 소득에 일희일비하지 말자. 사람들은 대개 자기와 같은 조건, 비슷한 경력과 경험을 가진 사람과 소득수준을 비교한다. 이때 남보다 조금만 뒤처지는 것 같아도 울적하고 기분이 상한다. 연봉 인상 소식에 기뻐하다가도 옆자리 동료의 연봉이 더 높다는 걸 알자마자 기분이 바닥으로 뚝 떨어지.. 2021. 6. 22.
행복한 삶, 관계가 풍부한 삶?! 사람이 중요하다. 자기 안에서만 행복을 찾지 말고 다른 사람 안에서, 관계 안에서 찾아라. 당신도 누군가에겐 이 세상을 조금 더 살 만한 곳으로 만들어 주는 사람이다. (발췌: 세상 모든 행복) 2021.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