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스턴 처칠의 명언 중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The price of greatness is responsibility.
(위대함의 대가는 책임감이다.)
언뜻 단순한 표현이라고 생각되지만, 그 의미는 매우 깊다고 본다.
나 자신이 리더이고자 한다면, 조직이 존중과 존경을 받고자 한다면,
나와 조직 그리고 조직원에 대한
더불어 그 관계망과 관련하여
‘책임감’을 반드시 이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위대함은 책임감을 전제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공자도 ‘군자 모도 불모식 (君子 謀道 不謀食) / 군자 우도 불우빈 (君子 憂道 不憂貧)’이라고 하였다. 흔히, ‘군자는 도를 도모하지 식과 빈을 도모하지 않는다.’라고 해석하지만, <강의 (나의 동양고전 독법: 고 신윤복 저)>에서는 ‘군자는 이웃이 식과 빈 즉, 물질욕 충족으로 인해 존재욕 즉, 도 추구를 멀리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라는 형태로 접근, 해석한다.
이렇게 보면, ‘이상과 신념을 잃은 무장은 싸우기 전부터 패한 것이며, 죽은 것과 마찬가지다.’라는 명언처럼, ‘사상과 신념’이 바탕이 되지 않은 ‘책임감’은, ‘위대함’은 ‘불완전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책임감’은 어떻게 발현될까.
사견으로 ‘사상과 신념이 바탕이 된 책임감’을 중심으로 신뢰 하에 사람과 자원 등이 집중하는 형태로 발현된다고 본다.[끝]
'건강한 공동체 조성을 위하여 > 건강한 조직 (경영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의 관리와 애벌린 패러독스 (0) | 2019.05.11 |
---|---|
모든 행복의 출발점은 '나의 변화'입니다. (0) | 2019.03.12 |
자비로운 리더가 되자. (0) | 2019.02.26 |
사회복지영역 '업무일지' 관리 절차와 방법 (0) | 2019.01.10 |
(사상) 140. 회의 문화 개선합시다. (0) | 2017.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