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공동체 조성을 위하여/건강한 조직 (경영 등)

운동량 보존의 법칙과 EmDrive(전자기파 추진장치)

강호철 2014. 8. 6. 19:20

사기라던 EmDrive(전자기파 추진장치) 실험 성공,

NASA 실험 결과에 물리학계 발칵

 

본 내용은 NewDaily의 기사(2014.08.04.일자 / 전경웅 기자)와 블로그(‘윈웰의 게임세상’, ‘musiki’, ‘재즈(power831)’)에 게재된 자료를 바탕으로 재정리 한 것입니다.


로저 소이어(Roger Shawyer) 박사가 고안해 낸 '전자기파 추진장치(Em Drive)'의 초기형

NASA가 이 장치가 실제 작동한다는 것을 보여줬다. [자료사진]

 

국내 언론들이 태풍과 중국 윈난성에서 일어난 강도 6.5 지진으로 정신이 없을 때 전 세계 언론들은 한 과학 기사를 본국에 전하느라 난리가 났다. 항공우주국(NASA)이 직접 실험한 결과 전자기파 추진기(ElectroMagnetic Drive, 이하 EmDrive)’가 실제로 작동한다는 소식이다. ‘EmDrive 소동은 영국의 과학자 로저 소이어(Roger Shawyer)’2000“EmDrive로 자세제어 추진기가 움직이는 것 같다는 보고를 하면서부터 시작됐다.

 

로저 소이어 박사(Roger Shawyer)EmDrive의 구조를 세상에 알렸다. 그러나 세계 물리학계는 그건 불가능하다” “뉴튼의 3대 법칙을 거스르는 것이라며 헛소리로 치부했다. 로저 소이어 박사의 주장을 유심히 지켜본 것은 중국의 물리학자들이었다. 중국 물리학자들은 소이어 박사의 주장에 따라 EmDrive를 만들어 실험했다. 그 결과는 성공이었다. 중국 물리학자들도 실험 결과를 2008년 발표했지만, 세계 물리학계는 중국의 주장을 믿을 수 있냐며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이들의 실험에 호기심을 가진 물리학자 귀도 페타(Guido Fetta) 박사는 혼자 EmDrive를 실험해본 뒤 그들의 말이 사실이라는 것을 보고 NASA실험을 꼭 해봐달라고 요청했다. NASA는 마지못해 20138월부터 검증에 돌입했다. 그런데 그 결과 EmDrive가 실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이 내용은 지난 728클리블랜드에서 열린 제50회 복합 추진학 컨퍼런스(Joint Propulsion Conference)에서 발표됐다. NASA의 발표를 본 세계 물리학계는 충격에 빠졌다전 세계 과학매체들은 이 소식을 긴급속보로 본국에 전했다. 세계 물리학계가 EmDrive의 실제 작동에 놀라는 것은 밀봉된 금속통 안에다 전자렌지 등에도 사용하는 마그네트론을 장착, 전자기파를 한 쪽에 쏘는 것만으로 금속통 자체가 추진력이 생긴 것 때문이다.

 

EmDrive 원리는 아래 그림과 같이 마이크로웨이브 입자를 양쪽이 막힌 통속에 쏴버리면 입자들이 바운스 바운스~ 하게 되는데 이때 전자파 폭이 넓은 쪽보다 좁은 쪽으로 바운스가 더 많이 이루어지고 이때 반사된 입자들이 가속도를 얻어 추진되는 원리라고 합니다(블로그 윈웰의 게임세상에서 부분 발췌 및 수정). 이러한 EmDrive의 효용성은 같은 힘을 얻는데 훨씬 더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는 데 있습니다. 우주에서 이 장치가 사용되면 별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추력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현재는 우주공간에서 힘을 얻기 위해 추진체가 필요하지만 EmDrive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마이크로파가 밀폐된 공간에서 바운스되며 힘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추진체가 필요 없다는 것이죠. 적어도 별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우주에서는 영속적인 우주여행이 꿈이 아니게 되는 것입니다(물론 밖에서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넣어줘야 함으로 따지고 보면 무한동력은 아니라고 볼 수 있지만).


로저 소이어(Roger Shawyer) 박사가 고안해 낸

'전자기파 추진장치(Em Drive)' 초기형의 간략한 구조 설명 [그래픽: 사이언스위키 캡쳐]

 

이러한 EmDrive 원리는 뉴튼이 발견한 운동량 보존의 법칙(추진제를 이쪽으로 날리면 반대쪽으로 추력이 발생하는 작용 반작용의 법칙에 위배)’을 거스르는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말합니다.

 

운동량 보존 법칙은 아주 중요한 법칙입니다. 이것은 존재하지 않는 운동량을 창출하거나 없앨 수 없다는 것입니다. , 외부에서 어떤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내부에서의 힘만으로 물체의 운동 상태는 변하지 않습니다. 두 개의 물체가 충돌할 때도 운동량은 충돌 이전과 이후에 똑같습니다. 우주여행 프로젝트는 이와 같은 원칙에 의해 진행되어 왔습니다. 여기에서의 기본 원리는 반작용이 있다는 것입니다. 당신이 없어지든 말든 신경 쓰지 않는 물질(배기 물질)이 나가면서 중요한 물체(로켓)를 밀어 준다는 것입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모든 힘은 쌍으로 존재한다는 것이죠.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거해 설명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닫힌 계의 운동량의 합은 일정하다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무언가를 뒤로 버리지 않고서는 앞으로 나아갈 수 없고, 그러므로 뒤를 틀어막은 로켓은 앞으로 나갈 수 없다는 것입니다(블로그 재즈(power831)’ 부분 발췌).

 

엔진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엔진이란 에너지를 움직임으로 전환하는 물건을 뜻합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로켓 엔진과 반동 추진 엔진은 반대 방향에 강력한 힘을 쏟아 붓는 방식으로 추력을 얻습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로켓 엔진은 매우 커다란 관과 폭발성 물질(추진체)를 포함합니다. 로켓을 발사하면 추진체가 연소하고, 연소 가스가 모든 방향으로 팽창해야 합니다. 그러나 튜브 안에 갇혀 있기 때문에, 연소 가스는 뒤로만 나가게 됩니다. , 튜브의 앞쪽과 뒤쪽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에서는 폭발로 인한 힘이 대칭이 되어 상쇄되고, 추진체는 뒤로만 나가기 때문에, 로켓은 앞으로 밀려 나가는 것입니다.

 

그러나 EmDrive는 집어넣는 힘에 비해 더 큰 힘을 얻어내는 장치입니다. 이 과정에서 운동량의 비대칭적인 균형이 만들어집니다. 그래서 통이 넓은 쪽으로 움직입니다. 도대체 어디에서 없던 힘이 생겨난 것일까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바로 전자기파에는 질량이 없음에도 운동량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흔히 말하는 태양 전자기파는 광압이라는 일종의 운동량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엄청나게 미약하지만 저항이 없는 우주공간에서는 나름 추진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우주공간에서는 아무리 추진력이 미약해도 진공상태이므로 관성의 법칙에 따라 계속해서 가속만 한다면 종국에는 엄청난 속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블로그 ‘musiki’에서 발췌 및 수정).

 

대형 반사 돛을 세워서 태양광으로 항해하는 범선 상상도

 

이에 대해 로저 소이어 박사는 EmDrive가 물리학의 기존 법칙과 완전히 모순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합니다. 앞이 가늘어진 공명 공동을 마이크로파로 채워 추진력을 얻는데, 엔진 내측의 마이크로파에는 다른 기준 좌표계가 적용되기 때문에 뉴턴 물리학에서는 일어날 수 없을지라도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서는 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이 장치를 처음 고안한 로저 소이어(Roger Shawyer) 박사에 따르면 EmDrive와 비슷한 추진 장치는 과거 심우주로 쏘아 보낸 딥 스페이스 1에 장착했던 이온 엔진을 들 수 있다고 합니다이온 엔진은 강력한 전력으로 원소를 이온화시켜 출력을 얻는 추진 장치로 기존의 화학추진 로켓에 비해 훨씬 오랜 기간 동안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고 하네요.그런데 EmDrive는 이온 엔진보다 13배나 긴 시간 동안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비슷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추진 장치 무게는 이온엔진의 10분의 1도 채 되지 않는다고 하네요.

 

EmDrive의 성공에 흥분한 일부 과학자들은 이를 활용하면, 화성까지 가는데 1주일이면 충분할 것이라며, 우주여행 시대가 곧 열릴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답니다하지만 이런 기대가 곧바로 현실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에 전시된 새턴 5호 로켓. 높이 110m의 거대한 크기이지만 달 탐사에는 몇 톤 무게밖에 보낼 수 없었다

이것이 현재 인류가 사용 중인 화학로켓의 한계다. [자료사진]

 

EmDrive는 이온 엔진과 마찬가지로 중력과 마찰, 항력 등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 우주 공간에서는 꾸준한 가속을 통해 높은 속도를 얻을 수 있지만, 지구상에서 대기권 바깥까지 올라가는 데는 아직 출력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세계 물리학계는 오히려 EmDrive의 작동 성공 소식을 듣고선 지금까지 현대 물리학계에서 밝혀내지 못했던 암흑물질 등 새로운 세상에 더욱 접근했다는 것에 더 기뻐하고 있다고 하네요


 

Anomalous Thrust Production from an RF Test Device

Measured on a Low-Thrust Torsion Pendulum

 

David A. Brady, Harold G. White, Paul March, James T. Lawrence, and Frank J. Davies

NASA Lyndon B. Johnson Space Center, Houston, Texas 77058

 

This paper describes the eight-day August 2013 test campaign designed to investigate and demonstrate viability of using classical magnetoplasmadynamics to obtain a propulsive momentum transfer via the quantum vacuum virtual plasma. This paper will not address the physics of the quantum vacuum plasma thruster, but instead will describe the test integration, test operations, an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test campaign.

Approximately 30-50 micro-Newtons of thrust were recorded from an electric propulsion test article consisting primarily of a radio frequency (RF) resonant cavity excited at approximately 935 megahertz.

Testing was performed on a low-thrust torsion pendulum that is capable of detecting force at a single-digit micronewton level, within a stainless steel vacuum chamber with the door closed but at ambient atmospheric pressure. Several different test configurations were used, including two different test articles as well as a reversal of the test article orientation. In addition, the test article was replaced by an RF load to verify that the force was not being generated by effects not associated with the test article. The two test articles were designed by Cannae LLC of Doylestown, Pennsylvania. The torsion pendulum was designed, built, and

operated by Eagleworks Laboratories at the NASA Johnson Space Center of Houston, Texas.

 

Approximately six days of test integration were required, followed by two days of test operations, during which, technical issues were discovered and resolved. Integration of the two test articles and their supporting equipment was performed in an iterative fashion between the test bench and the vacuum chamber. In other

words, the test article was tested on the bench, then moved to the chamber, then moved back as needed to resolve issues. Manual frequency control was required throughout the test. Thrust was observed on both test articles, even though one of the test articles was designed with the expectation that it would not produce thrust. Specifically, one test article contained internal physical modifications that were designed to produce thrust, while the other did not (with the latter being referred to as the “null” test article).

Test data gathered includes torsion pendulum displacement measurements which are used to calculate generated force, still imagery in the visible spectrum to document the physical configuration, still imagery in the infrared spectrum to characterize the thermal environment, and video imagery. Post-test data includes

static and animated graphics produced during RF resonant cavity characterization using the COMSOL Multiphysics® software application. Excerpts from all of the above are included and discussed in this paper.

 

Lessons learned from test integration and operations include identification of the need to replace manual control of the resonant cavity target frequency with an automated frequency control capability. Future test plans include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circuit.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RF resonant cavity thruster design, which is unique as an electric propulsion device, is producing a force that is not attributable to any classical electromagnetic phenomenon and therefore is potentially demonstrating an interaction with the quantum vacuum virtual plasma. Future test plans include independent verification and validation at other test facilities.


 

중국이 마이크로파 상대성 엔진 테스트의

성공을 선언하다

2014/08/04 17:14

 

Researchers in China say that they've successfully managed to test an engine that runs on electricity, requires no propellant and produces no exhaust. It's called the EmDrive, and it's able to convert microwave energy directly into thrust inside a sealed chamber. Oh, it's totally silent and highly efficient, too. If it seems too good to be true, well, you're not the only one who feels that way. But the researchers have a prototype that apparently works, and they've just published a paper detailing it.

중국의 연구자들이 전기로 추진하는 엔진의 테스트에 성공했다고 한다; 그 어떤 추진체도 사용하지 않아 질량 배출이 없는 엔진이다. 이 엔진은 EmDrive라고 불리며, 이 엔진은 마이크로파의 에너지를 그대로 밀폐된 추진실 내에 넣어 추진력을 얻는다. 물론, 완벽히 조용하며 매우 효율이 높다. 이것이 진짜라기에는 너무 좋아보이는가? 당신만 그렇게 느끼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연구자들은 실제로 작동하는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으며, 그 세부사항이 기록된 논문을 출판하였다.

 

Before we get into the mechanics of the EmDrive, let's give it some context. An engine is something that converts energy into motion. There are lots and lots of different ways of doing this, but let's take a look at a very simple one: a rocket engine. With a rocket engine, you've got a big tube with some explosive stuff (propellant) in it. When you launch the rocket and the propellant combusts, it tries to expand in all directions at once, but because it's stuck in a tube, it can only make it out the back. This means that the force that explosion exerts on the tube is symmetrical in every direction except for the back and the front, and as the propellant escapes out the back, the rocket gets pushed forward.

EmDrive의 기작으로 넘어가기 전에, 개략적인 설명을 하고자 한다. 엔진이란 에너지를 움직임으로 전환하는 물건이다. 이것을 하는 방식은 셀 수 없이 많으나, 아주 간단한 것을 하나 살펴보자. 바로 로켓 엔진이다. 로켓 엔진은 매우 커다란 관과 폭발성 물질(추진체)를 포함한다. 로켓을 발사하면 추진체가 연소하고, 연소 가스가 모든 방향으로 팽창해야 한다. 그러나 튜브 안에 갇혀 있기 때문에, 연소 가스는 뒤로만 나가게 된다. 그렇다면 튜브의 앞쪽과 뒤쪽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에서는 폭발로 인한 힘이 대칭이 되어 상쇄되고, 추진체는 뒤로만 나가기 때문에, 로켓은 앞으로 밀려 나간다.

 

The basic principle here is that there's a reaction going on: stuff you don't care about (the exhaust) going one way pushes something that you do care about (the rocket) the other way. The reason that this works is a fundamental law of physics: Newton's Third Law, to be exact, which says that all forces exist in pairs. It also works because of the Law of Conservation of Momentum, which says that in a closed system, total momentum (which is the product of both mass and velocity) is constant. In other words, you can't have a rocket that moves forward without something moving backwards, and you also can't have a rocket that moves forward if you seal up the back end.

여기에서의 기본 원리는 반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당신이 없어지든 말든 신경 쓰지 않는 물질(배기 물질)이 나가면서 중요한 물체(로켓)를 밀어 준다는 것이다. 뉴턴의 제 3법칙에 의거해 이것이 가능하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모든 힘은 쌍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거해 설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닫힌 계의 운동량의 합은 일정하다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무언가를 뒤로 버리지 않고서는 앞으로 나아갈 수 없고, 그러므로 뒤를 틀어막은 로켓은 앞으로 나갈 수 없다는 것이다.

 

This is why the engine that scientists in China are claming to have successfully tested is so crazy: According to the fundamental laws of physics, the universe should not allow it to work.

이 원리가 중국 과학자들의 성공적인 실험이 정신나간 소리라고 하는 이유이다. 물리학의 기본 원리에 의하여, 우주가 이것을 허락할 수 없다는 것이다.

 

The basic operating principle of this engine was conceptualized by a British dude named Roger Shawyer several decades ago, and has been in the news over the last few years (including on DVICE) as Shawyer built prototypes. The EmDrive itself is simply a microwave resonating cavity in the form of a closed, truncated cone. You fire up a big electrically-powered microwave generator and start beaming microwaves inside this thing, and the microwaves bounce around all over the place, exerting radiation pressure on the inside of the cavity.

이 엔진의 기본 원리는, 수십년 전 로저 소이어라는 영국인에 의해 그 개념이 소개된 바 있고, 소이어가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몇 년전에 뉴스에 보도된 바가 있다. EmDrive는 밀폐된 원뿔대 모양의 마이크로파 공명 캐비티이다. 전기동력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이용해 이 엔진에 마이크로파를 발사하는 것으로 엔진에 시동이 걸리고, 마이크로파는 엔진 안에서 제멋대로 튕겨 다니면서 캐비티 내부에 복사압을 가한다.

 

Now, if we believe those pesky laws of physics, we'd say that the EmDrive won't be able to move anywhere, because the energy imparted by the microwaves bouncing off of the inside of the EmDrive will cancel out. There's no "exhaust."

이제, 만약 우리가 이 빌어먹을 물리 법칙을 믿는다면, 우리는 EmDrive로는 아무 데도 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해야 한다. 왜냐하면 EmDrive 내부에서 튕겨 다니며 전달된 마이크로파의 에너지는 상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배출"이 없으니까.

 

However, if we believe Shawyer, the EmDrive is in fact able to extert a small amount of thrust that propels it towards the large side of the cone. Shawyer says this happens because inside the resonating cavity, the velocity of the microwaves changes significantly as the cavity diameter varies. The velocity changes enough, in fact, to exert a larger force on the larger end of the cavity, and a smaller force on the smaller end of the cavity, resulting in net thrust. Shawyer argues that this isn't a violation of anything, because you have to treat the electromagnetic wave itself as acting in a different reference frame than the cavity, in accordance with Einstein's Special Theory of Relativity, meaning that the system is actually not closed.

그러나 우리가 소이어를 믿는다면, EmDrive는 사실 적은 양의 추진력을 원뿔대의 넓은 면을 향해 가할 수(exert오타) 있다. 소이어의 설명에 따르면 캐비티의 내부에서 캐비티의 지름에 따라 마이크로파의 속도가 바뀌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라고 한다. 만약 속도 변화가 충분해서, 캐비티에서 넓은 부분에 더 큰 힘이 가해지고, 좁은 부분에는 작은 힘이 가해질 정도가 되어 추진력이 생긴다는 것이다. 소이어는 이것이 그 어떤 것도 위배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데, 왜냐하면 전자기파 자체를 캐비티와는 별개의 계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며,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이 계는 닫힌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A lot of people are skeptical about a lot of the physics here, and Shawyer has been called a nutcase by some people with extensive math and phyics backgrounds, but here's a video of the EmDrive purportedly moving itself on a test stand from back in 2007:

많은 사람들이 이것의 물리에 대해 회의적이고, 소이어는 수학과 물리학(physics오타)적 배경이 상당한 사람들에게 정신병자로 불려왔다. 그러나 EmDrive가 작동하는 2007년 테스트라고 알려진 영상이 존재한다.

 

The EmDrive is contained inside that box-like thing, and that's part of what makes this thing so crazy: since it's reactionless and doesn't have to breathe in air or exhaust anything, you can completely seal it up and it'll still work quite happily, thrusting away inside whatever you've stuffed it into. Put one in your sock drawer, and it'll start trying to lift your dresser. Swallow one, and it'll start trying to lift you. Heck, seal it up in a block of concrete, and as long as you feed it enough electric power, you'll have a block of concrete that you can make levitate.

EmDrive가 저 박스같은 것에 들어가 있다고 하며, 이게 EmDrive를 정신나간 소리로 만드는 이유이다. 반작용 자체가 없고 어떤 기체를 빨아들일 필요도, 내보낼 필요도 없으며, 완전히 밀봉해 버려도 잘 움직이면서 가고 싶은 곳으로 추진하면 된다. 이걸 양말 서랍에 집어넣으면 장롱이 뜬다는 것이다. 하나 집어 삼키면 당신이 둥둥 뜰 것이다. 이것을 콘크리트 안에 묻어 버리고, 전기만 충분히 공급한다면 날아다니는 콘크리트 덩어리를 얻게 될 것이다.

 

We want to reiterate that there are apparently a lot of very good reasons why a drive like this absolutely shouldn't work, and the general consensus of the scientific community is that Shawyer's results are caused by something else and that the drive doesn't function like he thinks it does (or at all). Boeing's Phantom Works took a look at one of Shawyer's prototypes and didn't pursue it, and when that sort of thing happens, it's usually a pretty good sign that the thing doesn't function. If it functioned even a little tiny bit, you'd have to think that a company like Boeing would be all over it, right?

왜 이 추진기가 절대로 작동하면 안되는가에 대한 수많은 논거가 존재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그리고 학계의 주류 의견은 소이어의 결과가 소이어가 생각하는 이유가 아닌 무언가 다른 것에 의해 일어난 것이라는 것도 분명히 한다. 보잉 사의 팬텀 웍스는 소이어의 프로토타입을 살펴보고 별 다른 행동을 하지 않았다. 이런 현상은 보통 이게 작동하지 않는다는 좋은 신호이다. 만약 이게 아주 조금이라도 작동했다면, 왜 보잉같은 회사가 여기에 뛰어들지 않았을까?

 

Still, researchers in China have developed Shawyer's design over the last several years. Yang Juan, Professor of Propulsion Theory and Engineering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at the Northwestern Polytechnic University in Xi'an, just published a paper entitled "Net thrust measurement of propellantless microwave thruster." In the paper, Yang describes an iteration of the EmDrive that's able to generate 72 grams of thrust with 2,500 watts of electricity. It doesn't sound like a huge amount, but if you compare it to the hands-down most efficient spacecraft engine we've got right now (where efficiency is at an absolute premium), an ion thruster, the Chinese EmDrive gets you four times as much thrust from half as much power without sucking down any fuel at all. Yeah, you need electricity, but electricity is cheap in space and cheaper on the ground. Anyway, you can read the paper here, and if you can make conclusive heads or tails of it, please do us all a favor and explain it in the comments.

그러나 지난 수년동안 중국의 연구자들이 소이어의 디자인을 현실화했다. 시안북서부기술대학교의 교수 양주안은 "무추진체 마이크로웨이브 추진기의 총추진력 측정"이라는 논문을 출판하였다. 양은 2500와트의 전기로 72 그램에 해당하는 추진력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 많은 양은 아니지만, 현존하는 가장 효율적인 우주선 엔진인 이온 엔진과 비교한다면 EmDrive는 연료를 전혀 버리지 않고도 절반의 동력만을 사용해 4배의 추진력을 낸다. 전기가 필요하지만, 전기는 우주에서 싼 에너지이고, 지구상에서는 훨씬 더 싸다. 어쨌든, 논문이 여기 있고, 당신이 이것에 대해 살을 좀 더 붙일 수 있다면, 여기 댓글에 설명해 보강을 해 주는 호의를 베풀면 진심으로 바란다.

 

As skeptical as we are, let's just pretend for a second that the EmDrive is proven to work. What's the future like? Well, Shawyer says that with a superconducting cavity, the EmDrive could eventually be boosted to produce three tons of lift from just one kilowatt of input power. You could put them on anything you wanted to counteract gravity, while using conventional engines to provide high-impulse thrust. This would mean flying cars, it would mean highly efficient aircraft, it would mean cheap cargo to space. Gravity would cease to be a factor, requiring only renewable energy to counteract. It would be a fundamental and mind-blowing paradigm shift in all aspects of transportation.

당신도 우리만큼이나 회의적이겠으나, 잠깐만 EmDrive가 작동한다고 증명했다고 해 보자. 그 미래를 상상해보자. 소이어에 의하면, 초전도체를 이용한다면 EmDrive1킬로와트만으로 3톤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무엇이든 중력 방향 반대로 띄우고 싶은 것은 다 띄울 수 있다. 전통적인 엔진들이 매우 강한 충격량을 가진 추진을 하는 반면에 말이다. 이 말은 날으는 자동차가 가능하고, 매우 고효율의 비행체가 가능하며, 저렴한 우주 수송선을 의미한다. 중력은 더 이상 장애물이 아니게 되며, 재생 가능한 에너지만으로 상쇄 가능해진다. 이것은 수송 방식에 있어 매우 근본적인 패러다임 전환일 것이다.

 

We want to reiterate, again, that we have to side with physics on this one. The EmDrive is an extraordinary claim, and is going require extraordinary evidence and testing and demonstrations and we're absolutely not there yet. We're nowhere close. We've got some claims, some pictures of hardware, some YouTube video, and a paper published in China and that's it. We need to see these things mailed to NASA and JPL and some major universities with no strings attached, and we need to see them perform there, and we need to see them getting built from scratch and working as advertised, and none of that is going to happen soon. The best we can reasonably hope for is a demonstration of the Chinese prototype at an aerospace conference sometime this year.

한 번 더 강조하자면, 우리는 언제나 물리학 편에 있어야 한다. EmDrive는 매우 기이한 것이고, 여기에는 아주 탁월한 증거와 시험과 시연이 있어야 하며, 여기에는 아직 도달하지 못했다. 별로 가까이 가지도 못했다. 우리가 가진 것은 그저 어떤 주장, 기기의 사진, 어떤 유튜브 영상, 그리고 중국에서 출판된 논문- 그뿐이다. 우리는 이것을 NASAJPL, 그리고 주요 대학에 어떤 조작도 없이 보내서, 거기에서 작동하는 것을 보아야 하고, 주장했던 것처럼 밑바닥에서부터 제작해 작동하는 것을 보아야 하는데, 그 어떳 것도 금방 실현할 수는 없다. 우리가 바랄 수 있는 최선의 것은 중국의 프로토타입 시연이 항공우주공학 학회에서 올해 안에 열리는 것이다.

 

Now, having said all that, it's definitely hard to not get just a little bit excited about the potential here. I mean, even in science fictionreactionless drives are totally science fiction, and that's what we live for around here: science fiction becoming reality.

이제 이렇게까지 말했는데, 이것의 잠재성에 대해 전혀 흥분하지 않았다고는 말하기 어렵겠다. 내 말은, 무반동 추진기라는 것은 공상 과학 내에서도 공상 과학이라 하는데, 바로 그 공상과학이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이니까. 공상 과학이 진실이 되고 있다.

 

[출처] 재즈(power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