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으로 한겨레 뉴스를 살펴보다가 내 눈을 확, 잡아끄는 기사가 보였다.
‘미래세대보호능력’평가, 한국은 몇 위?‘라는 기사제목이었다.
“‘미래세대보호능력’이라는 용어가 무슨 개념일까?”하고 네이버 사전을 뒤져봐도 보이지 않고...
2013.9.2.일자 기사인데 본 기사를 재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책임투자(SRI) 평가기관이자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평가업체인 로베코삼(RobecoSAM)이 최근 사회, 경제, 거버넌스 분야(17가지 요인)의 지속가능성 - 평가 요소별 비중은 환경 15%(신재생 에너지와 탄소 배출 등), 사회 25%(기대수명과 노동자 불안 수준 등), 거버넌스 60%(부패와 불평등도 등)이며, 요소별로 10점 만점을 기준 - 을 토대로 각 나라의 순위를 매긴 미래세대 보호 능력에 기반 한(경제지표가 아닌) 세계 각국의 경쟁력 평가 보고서를 냈다고 한다(대상: 선진국 21개국과 개도국 38개국을 합쳐 59개국).
본 보고서에 의하면, 한국은 59개국 중 34위로 평가되었고 노동참여, 교육, 소득 불평등, 거버넌스와 신재생 에너지, 탄소 배출을 포함한 대부분의 항목에서 좋은 점수를 받은 스웨덴이 가장 지속가능성 있는 나라로 선정되었으며, 아프리카의 나이지리아이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
'건강한 공동체 조성을 위하여 > 건강한 지역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 재태크 - 연금 활용 (0) | 2013.09.16 |
---|---|
우리나라 세계행복지수 1위 될 수 없는가?! (0) | 2013.09.11 |
공유가치(CSV)창조를 실천하는 독일 (0) | 2013.09.02 |
공유가치(CSV)창조를 실천하는 일본 - 토요타와 토요타시 (0) | 2013.09.02 |
공유가치(CSV)창조를 실천하는 일본 - "기업과 通하라. 그래야 도시가 산다" (0) | 201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