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보장협의체 4

(사상 166) 읍면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제 기능과 역할을 변화시키자.

1. 들어가며 2022년 11월에 제4기 읍면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을 신청했다. 제1기 읍면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활동을 하다가 중단한 이후 처음이다. 아직까지 초기 활동 당시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제 기능과 역할에 대한 관(동사무소)과의 인식 차이로 인한 충돌(?)의 여파를 완전히 해소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지금쯤이면 조금이라도 달라지지 않았을까하는 기대감을 갖고 참여해보기로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대감은 ‘읍면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신규 위원 대상으로 한 의무 교육 과정’ 참여를 통해 다시 금이 가기 시작했다. 그 이유는 바로 여전히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의 역할로 ‘사각지대 주민 발굴 및 돌봄’을 제일 중요하게 강조하고 있음을 느꼈기 때문이다. 깊이 그리고 넓게..

커뮤니티케어정책을 바라보며...

커뮤니티 케어(community care) 본 용어에 대한 보건복지부 차원의 정책적 개념을 살펴보면, '케어가 필요한 주민(노인, 장애인 등)이 살던 곳(자기 집, 그룹홈 등)에서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주거‧보건의료‧요양‧돌봄‧독립생활 지원이 통합적으로 확보되는 지역주도형 사회서비스 정책'이라고 안내되고 있다. '케어, 케어가 필요한 주민,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삶, 통합적 주거/보건의료/요양/돌봄/독립생활 지원, 지역주도형, 지역주도형 사회서비스 정책'이라는 키워드를 살펴보면서, 커뮤니티케어에 대해 아래와 같은 의문점을 가져본다. (1) ‘지역주도형 케어 사회서비스 정책’이 커뮤니티 케어(community care)인가. 보편적복지와 복지국가가..

커뮤니티케어 지역사회보장계획, 이렇게 수립해보세요.

지역사회에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으로 활동한지 벌써 10년이 되고 있다. 2기 지역사회복지계획으로부터 지금 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까지 참여하고 있는데, 그 과정, 과정마다 기쁨도 있지만 씁쓸함도 배어나온다. 거의 마무리 되어져가고 있는 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내가 주 담당하고 있는 영역이 평가와 '건강'사업 영역인데, 여기에 그 내용을 옮겨 놓아 본다. ㅎㅎㅎ 그런데 이렇게 옮겨 놓는 과정에서 "아래 세 가지 사업 유형 대비 과연 몇 개 사업이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에 반영될 수 있을까."라는 걱정, 조바심 그리고 회의감이 계속 밀려드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아마도 지금까지 이렇게 제안을 해봐도 제대로 반영된 적도 없고, 간혹 반영되더라도 예산 확보가 안되는 경우가 계속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겠지..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마을 만들기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 차원에서 읍면동별 컨설팅 활동을 하면서 '사회문제에 대한 시각, 마을 만들기 활동에 대한 생각,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제 기능과 역할 등'에 대해 협의체 소속 위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한 번 조사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들어 본 조사를 실시하게 됨 (1) 설문지 제작: 2016년 10월1일-10월11일 (2) 설문조사 내용: 총 7개 조사 항목 ① 인적사항: 2개 문항 (성별, 연령) ②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사회문제에 대한 인식 조사 1문항 ③ 상기 사회문제에 취약한 복지영역에 대한 인식 조사 1문항 ④ ‘◯◯◯ 복지마을 조성’ 희망 인식 조사 1문항 ⑤ ‘◯◯◯ 복지마을 조성’을 위한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기능·역할에 대한 인식 조사 1문항 ⑥ ‘◯◯◯ 복지마을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