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플랫폼 사고와 전략
1. 플랫폼에 대한 기본적 이해
2. 왜 지금 플랫폼인가.
3. 플랫폼의 기능과 역할
4. 플랫폼의 경제적 가치
5. 플랫폼의 성공 조건
6. 플랫폼 사고
7. 플랫폼 전략
Ⅱ 비즈니스 생태계와 플랫폼
1. 비즈니스 생태계
2. 비즈니스 생태계 핵심, 플랫폼
3. 플랫폼 관점에서 본 비즈니스 생태계 유형
4.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유형&특징
Ⅲ 플랫폼 수익모델
1. (플랫폼 수익모델) 개념
2. 플랫폼 수익모델 유형
3. 플랫폼 수익배분
....................................................
플랫폼
'플랫폼'은 일반적으로 '기차를 타고 내리는 역'을 지칭한다. 즉, 사람들이 기차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모하는 승강장을 구비한 하드웨어적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다. (* 플랫폼은 이처럼 기차를 승·하차하는 공간이라는 개념외에 강사, 음악 지휘자, 선수 등이 사용하는 무대·강단 등을 지칭하기도 한다.)
그럼 이와 같은 하드웨어적 공간 개념인 플랫폼이 사회, 경제적으로 왜 이렇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일까.
플랫폼이 사람들이 기차를 쉽게 이용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처럼, 비즈니스 전략적 관점에서 수요와 공급이 원활한 만남을 제공하는 생태계 조성 개념 차원에서 인용되고 있고, 특정 장치나 시스템 등에서 이를 구성하는 기초가 되는 틀 또는 골격을 지칭하는 용어로, 컴퓨터 시스템·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21세기의 플랫폼은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거나 판매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본 구조(인프라),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인프라, 어떤 특정 반복 작업의 주 공간 또는 구조물(인프라), 정치/사회/문화적 합의나 규칙 등과 같은 무형의 인프라 등'과 같이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누구나 쉽게 서로 만나 원하는 가치 등을 교환하도록 도모하는 유무형의 또는 온오프라인 관점의 공간적 개념으로 확산,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플랫폼은 공통의 활용 요소를 바탕으로 본연의 역할도 수행하지만, 보완적인 파생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제조할 수 있는 기반이다. 그래서 플랫폼은 제품 자체뿐만 아니라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도 될 수도 있고, 다른 서비스와 연계를 도와주는 기반 서비스나 소프트웨어 같은 무형의 형태도 포괄하는 개념이다(≪주간경제≫, 2008).
my think: 그럼 과거에는 이와 같은 플랫폼이 없었을까. 필자 생각으로는 1차적으로 전통 시장 형태로 존재하였고, 2차적으로 마을, 도시 등이 플랫폼이었다고 본다. 도시를 또는 국가를 형성 - 거대한 집단생활 – 이전의 생활을 떠올려보자. 사람들은 무엇인가 필요한 것이 있다면 즉, 수요와 공급이 축적된 상태에서 약속된 일자에 물물교환 등의 형태로 열렸던 것이 고대시장이었다. (이런 시장을 바탕으로 마을, 도시 등이 형성되었을 것이고.) 어쩌면 필자가 근무하는 복지관과 같은 조직도 일종의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중후반부터 장애인종합복지관이 시도별로 개관되던 때를 상기해보라. 다양한 전문인력과 장비 그리고 서비스 등을 복지관이라는 하드웨어공간에 집중시켜놓은 것이 장애인종합복지관이었고 이런 공간을 장애인이라는 소비자가 이용했던 것이다. 물론 이때 전문인력과 장비 등이 개별사업자가 아니라는 점이 상이할 뿐이다.
플랫폼 가치
플랫폼의 대표 개념 격인 승강장이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는 존재인지 살펴보면, 플랫폼의 가치를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첫째, 승강장은 기차, 지하철, 혹은 버스, 택시 등과 같은 대중 교통수단이 하드웨어적으로 연결된 플랫폼이다. 이곳에만가면 국내 어디든지 갈 수 있을 것만 같은 교통환경이 제공되는 것이다.
둘째, 승강장은 다양한 직업의, 다양한 계층의, 다향한 연령과 성별의 그리고 다양한 지역의 사람들이 모이는 플랫폼이다.
셋째, 승강장은 유동인구가 많은 공간이기에 자연스레 신문이나 잡지, 먹거리 등을 판매하는 매점이나 자판기 등이 집결되어지는 플랫폼이다.
my think: 상기에서 플랫폼을 공급자와 수요자 등 복수 그룹이 참여해 각 그룹이 얻고자 하는 가치를 공정한 거래를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이라고 정의하고 있지만, 이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플랫폼, 즉 정거장은 코레일 한국철도공사에서 개설, 운영(플랫폼 업체: 아래 영업고시현황표 참조)하고 그 정거장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급 자원의 참여(예: 점포 개설/운영, 청소용역업체 등)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유형에 대해서는 ‘플랫폼 기준 비즈니스 생태계 유형’에서 살펴보는 것으로 하자.
넷째, 승강장은 그 주변에 다양한 형태의 광고와 크고 작은 상가 등이 조성되는 플랫폼이다.
다섯째, 승강장은 물질적으로는 돈이, 정신적으로는 희노애락이 집결 및 공유되는 플랫폼이다.
이렇게 단순히 교통수단과 승객을 만나게 하는 공간이라고만 여겨졌던 승강장(플랫폼)이 많은 사람이 몰려듦으로 인해 주요 수익 모델인 승차 요금 외에도 부가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상당한 수익을 창출하는 공간으로 재탄생하게 된 것이다.
승객이 필요로 하는 교통수단을 탈 수 있는 유일한 곳이기 때문에 별도의 마케팅을 하지 않아도 승강장에는 사람들이 몰려들었고, 이로 인해 승강장은 교통수단과 승객이 만날 수 있는 거점 역할을 하며, 교통과 물류의 중심이 된 것이고, 그 안에서 무수히 많은 가치 교환이 일어나고 거래가 발생하는 것이다.(윤상진, 2012)
이것이 바로 '플랫폼의 블루오션 차원의 독보적 존재 가치'인 것이다.
my think: 서두에서 사회복지시설은 특히, 종합사회복지관 또는 장애인종합복지관 등은 복지분야에서 플랫폼과 같은 하드웨어적 공간이라고 하였다. 그럼 이와 같은 오프라인 관점의 플랫폼의 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는 이용복지시설은 21세기에도 지속적으로 존재 가치를 유지할 수 있을까. 필자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플랫폼 구성 요소
플랫폼이란 '공급자와 수요자 등 복수 그룹이 참여해 각 그룹이 얻고자 하는 가치를 공정한 거래를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이면서, 더불어 '플랫폼 참여자들의 연결과 상호작용을 통해 진화하고, 모두에게 새로운 가치와 혜택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상생의 생태계'이다.(Simon, 2011; 최병삼, 2012; 조용호, 2011).
이와 같은 플랫폼의 기본적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고 생각한다.
(my think)
. 국가 구성 3요소: 국민, 주권, 영토
. 경제활동 3요소: 생산, 분배, 소비
. 플랫폼 구성 3요소 => 인간(약속/관계 등), 이익(계약), 정보와 자원(신뢰) / (*힌트: 오일시장, 노동시장 등)
'건강한 공동체 조성을 위하여 > 건강한 조직 (경영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점을 달리하면, 사업이 달라진다. (0) | 2021.06.04 |
---|---|
문서는 필연적 선택 수단 - 1. 존재 이유(들어가며) (0) | 2021.03.19 |
(경영) 사회복지와 플랫폼(들어감) (0) | 2021.02.19 |
사회복지와 공급사슬관리(SCM)의 의미있는 만남~! (0) | 2021.01.19 |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통합복지하나로?! (0) | 2020.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