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11] 에 의하면, 장애청소년들은 취업 희망 직종에 대해 ‘단순 노무직’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외에 남성(12.7%)·여성(7.9%) 장애 청소년의 경우 전문직을, 일반학교 소속 장애 청소년의 경우 전문직(13.3%)·사무직(9.4%)을, 뇌병변 장애 청소년(3.2%)과 시각/청각/언어(3.2%) 장애 청소년은 전문직을, 지적/정신/발달 장애 청소년은 서비스직(7.9%)을, 장애등급별·일상생활능력별에서도 역시 전문직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표 3-12] 에 의하면, 장애청소년들은 취업 후 희망 급여를 72만원에서 99만 9천원 사이를 선호하는 것으로, 소수이기는 하지만 300만원 이상의 급여를 받기를 희망하는 욕구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특수학교 소속 장애청소년·시각/청각/언어 장애 청소년·1급 장애를 갖고 있는 청소년·일상생활능력에 있어서 ‘거의 활동이 불가능’한 장애 청소년 등의 경우는 100만원 이상의 급여에 대한 욕구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강한 공동체 조성을 위하여 > 조사 연구 및 제언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귀포시) 장애청소년 실태 및 욕구조사10 (0) | 2014.09.24 |
---|---|
(서귀포시) 장애청소년 실태 및 욕구조사9 (0) | 2014.09.24 |
(서귀포시) 장애청소년 실태 및 욕구조사7 (0) | 2014.09.24 |
(서귀포시) 장애청소년 실태 및 욕구조사6 (0) | 2014.09.24 |
(서귀포시) 장애청소년 실태 및 욕구조사5 (0) | 201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