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 1-3은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 전략 선호도, 사회행동 실천행위가 사회복지사 자격급수, 근무시설유형, 직위, 근무경력 등 직업적 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석결과는 〈표Ⅳ-18〉,〈표Ⅳ-19〉,〈표Ⅳ-20〉,〈표Ⅳ-21〉과 같다.
〈표Ⅳ-18〉은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전략(제도적, 비제도적)선호도, 사회행동실천행위가 사회복지사 자격급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 전략 선호도, 사회행동 실천행위에서 사회복지사의 자격증 급수별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Ⅳ-19〉는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전략(제도적, 비제도적)선호도, 사회행동실천행위가 사회복지사의 근무시설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근무시설유형별로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 전략 그리고 사회행동 실천행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생활시설 근무 사회복지사(M=3.46)보다 이용시설 근무 사회복지사(M=3.72)가 사회사업 개입 목표를 사회변화에 두고 있는 개혁주의자적 사회행동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5), 사회행동 전략 선호도에서는 생활시설 근무 사회복지사(제도적 전략 M=3.42, 비제도적 전략 M=2.48)보다 이용시설 근무 사회복지사(제도적 전략 M=3.64, 비제도적 전략 M=2.77)가 비제도적 전략 방법 대비 제도적 전략 방법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1), 사회복지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생활시설 근무 사회복지사(M=2.10)보다 이용시설 근무 사회복지사(M=2.43)가 시민운동 참가, 항의집회 시위 참여, 시위나 데모 조직․주도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표Ⅳ-19〉근무시설유형에 따른 사회행동 성향, 사회행동 전략, 사회행동 실천행위 차이
〈표Ⅳ-20〉은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전략(제도적, 비제도적)선호도, 사회행동 실천행위가 사회복지사의 근무시설 내 직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직위에 따라 사회행동성향(사회사업 대상은 사회 모든 계층), 사회행동 전략(제도적 전략 방법, 비제도적 전략 방법) 그리고 사회행동실천행위에서 사회복지사의 직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사회행동성향에서는 일반사회복지사(M=4.04)보다 중간관리 이상 사회복지사(M=4.07)가 사회복지 전문인의 주된 목표로 모든 계층 사람들의 개인적 적응 즉, 대부분의 시간과 자원을 투입해야 할 대상을 사회의 모든 계층으로 인식하는 치료자적 사회행동성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p<.05), 사회행동전략선호도에 있어서는 일반사회복지사(제도적 전략 M=3.50, 비제도적 전략 M=2.54)에 비해 중간관리 이상 사회복지사(제도적 전략 M=3.73, 비제도적 전략 M=2.94)가 비제도적 전략 대비 제도적 전략 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제도적 전략 p<.01, 비제도적 전략 p<.001), 사회행동실천행위에 있어서도 중간관리 이상 사회복지사(M=2.64)가 일반사회복지사(M=2.17)보다 사회복지문제해결을 위한 여론조성 경험, 시민운동 참여 경험, 항의 집회․시위 참가 경험 그리고 시위나 데모 등을 조직․주도한 경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표Ⅳ-20〉직위에 따른 사회행동 성향, 사회행동 전략, 사회행동 실천행위 차이
〈표Ⅳ-21〉은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전략(제도적, 비제도적)선호도, 사회행동실천행위가 사회복지사의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사회행동성향(사회사업 대상은 빈민들), 사회행동 전략(제도적 전략, 비제도적 전략) 그리고 사회행동 실천행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7년 이상 근무경력의 사회복지사(M=2.78)는 사회행동전략측면에서 비제도적 전략 방법에 대해 타 근무경력 대 사회복지사(1년 미만 M=2.74, 1-3년 미만 M=2.50, 3-7년 미만 M=2.36)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사회행동실천행위 역시 7년 이상 근무경력의 사회복지사(M=2.78)가 타 근무경력 대 사회복지사(1년 미만 M=1.91, 1-3년 미만 M=2.12, 3-7년 미만 M=2.36)보다 사회복지문제해결을 위해 여론조성 경험, 시민운동 참여, 항의집회나 시위 참가, 시위나 데모 조직 또는 주도 경험 등을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표Ⅳ-21〉근무경력에 따른 사회행동 성향, 사회행동 전략, 사회행동 실천행위 차이
'사회복지사인 나는 > 논문- 사회복지사 전문 직업 정체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가설2) (0) | 2014.08.28 |
---|---|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전략 선호도, 사회행동실천행위와의 상관관계 (0) | 2014.08.28 |
지역별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 차이(가설 1-2) (0) | 2014.08.28 |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의 차이(가설 1) (0) | 2014.08.28 |
직업적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차이(가설 1-3) (0) | 201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