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 1은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 전략 선호도(제도적, 비제도적), 사회행동실천행위가 성별, 결혼, 연령, 학력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다른지(가설 1-1)와, 지역별로 즉,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대비 타 15개시․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가설 1-2) 그리고 사회복지사 자격급수, 근무시설유형, 직위, 근무경력 등 직업과 관련된 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지(가설 1-3)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성별, 결혼, 사회복지사 자격급수, 근무지역, 근무시설, 근무 직위에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에 차이가 나는지는 t-test를 실시하고, 연령, 종교, 학력 그리고 근무경력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량분석(0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가설 1-1은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 즉,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전략(제도적, 비제도적)선호도, 사회행동실천행위가 성별, 결혼유무, 연령, 종교, 학력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석결과는 〈표Ⅳ-12〉,〈표Ⅳ-13〉,〈표Ⅳ-14〉,〈표Ⅳ-15〉,〈표Ⅳ-16〉과 같다.
〈표Ⅳ-12〉는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전략(제도적, 비제도적)선호도, 사회행동실천행위가 사회복지사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사회행동성향과 사회행동 전략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고, 사회행동 실천행위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여성 사회복지사(M=2.16)는 남성 사회복지사(M=2.57)보다 사회행동 실천행위 경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다시 말해서 여성 사회복지사는 남성 사회복지사보다 사회복지문제에 대하여 여론을 조성하거나 항의집회․시위 등의 참여, 시위 또는 데모 등을 조직하거나 주도한 경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Ⅳ-13〉은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전략(제도적, 비제도적)선호도, 사회행동실천행위가 사회복지사의 결혼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결혼유무에 따라 사회행동 실천행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성별 대비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실천행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던 것처럼 미혼인 사회복지사(M=2.12)가 기혼인 사회복지사(M=2.51)에 비해 사회행동 실천행위 경험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p<.001).
〈표Ⅳ-14〉는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전략(제도적, 비제도적)선호도, 사회행동실천행위가 사회복지사의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연령에 따라 사회행동성향과 사회행동 전략 중 제도적 전략 방법 그리고 사회행동 실천행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30대 사회복지사(M=3.29)가 타 연령 대 사회복지사(29세 미만 M=3.11, 40대 M=3.24, 50세 이상 M=2.13)보다 사회사업 대상을 빈민들로 인식하는 성향 즉, 행동주의적 사회행동성향이 강하였고(p<.01), 사회행동전략선호도에서는 타 연령 대에 비해 30대(M=3.66)에서 제도적 전략 방법을 가장 높게 선호하고(P<.05), 사회행동실천행위에서는 40대(M=2.57)가 타 연령별 집단 대비 높은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표Ⅳ-14〉연령에 따른 사회행동 성향, 사회행동 전략, 사회행동 실천행위 차이
〈표Ⅳ-15〉는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전략(제도적, 비제도적)선호도, 사회행동실천행위가 사회복지사의 종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종교에 따라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전략선호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회행동 실천행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기독교 사회복지사(M=2.48)가 비종교(M=2.04)․천주교(M=2.41)․불교(M=2.43) 사회복지사 보다 사회복지문제에 대한 여론조성, 항의집회 또는 시위 참여, 시위나 데모 등 조직․주도 경험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표Ⅳ-15〉종교에 따른 사회행동 성향, 사회행동 전략, 사회행동 실천행위 차이
〈표Ⅳ-16〉는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성향, 사회행동전략(제도적, 비제도적)선호도, 사회행동실천행위가 사회복지사의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학력에 따라 사회행동성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회행동전략선호도와 사회행동실천행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대학원에 재학하거나 졸업한 사회복지사는 전문대졸 이하 또는 4년 대졸 사회복지사보다 사회행동전략으로 제도적 방법(M=3.78)과 비제도적 방법(M=2.97) 모두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p<.01), 사회복지문제와 관련하여 여론조성, 시민운동 참가, 항의집회 및 시위 참여, 시위나 데모 등을 조직하고 주도한 경험(M=2.72) 등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표Ⅳ-16〉학력에 따른 사회행동 성향, 사회행동 전략, 사회행동 실천행위 차이
'사회복지사인 나는 > 논문- 사회복지사 전문 직업 정체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적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 차이(가설 1-3) (0) | 2014.08.28 |
---|---|
지역별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사회행동 차이(가설 1-2) (0) | 2014.08.28 |
직업적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차이(가설 1-3) (0) | 2014.08.28 |
지역별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차이(가설 1-2) (0) | 2014.08.28 |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차이 (가설 1) (0) | 201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