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람직한 양심으로 가는 길은 '개인적 자선, 개인적 관계, 사적 의무'를 통해야 한다.(러셀 커크) >
이 표현은 곧
'나'에 대한 자각이 없으면,
'관계'는 존재할 수 없으며
'관계'에 대한 자각이 없으면
'의무와 권리' 또한 존재할 수 없는 것이기에
결론적으로 '나'에 대한 자각이 바로 '(바람직한) 양심'의 근본이 되는 것이라는 생각을 가져본다.
그렇기에 '러셀 커크'는 아래와 같이 주장할 수 있었던 것 아닐까.
'건강한 공동체 조성을 위하여 > 건강한 지역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지역 화폐 '탐나는 전', 그 존재 가치와 직면 문제 (0) | 2022.03.25 |
---|---|
고령장애인복지증진을 위한 장애인복지관 향후 역할 (2) (0) | 2020.06.17 |
사회복지사업-사회복지서비스-사회서비스-사회서비스원 (0) | 2020.02.10 |
2019 제주도사회서비스원 설립 타당성 주민 공청회를 듣고서~! (0) | 2019.12.18 |
Think~! (0) | 2019.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