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공동체 조성을 위하여/조사 연구 및 제언 등 28

2017년 사회복지시설평가부터는 웃으며 받자!

2014년 7월중에 전국 장애인복지관 평가가 마무리 되었죠. 그 동안 평가 준비로 조직과 개인 차원에서 심신이 많이 힘들었을 것입니다. 우리 복지관 역시 고난의 길(?)을 걸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본 평가를 통해 얻은 조직 차원에서 목표로 삼은 성과는 얻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조직원의 의식적 참여 하에 팀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평가 준비'였죠. 물론 사회복지시설평가가 도입된 이래 복지관의 평가가 팀제 운영 복지관에 대한 평가이었기에 '팀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평가 준비'가 특별하지 않다고 받아들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사회복지현장을 들여다보면 '사회복지시설평가준비'는 소수에 의해 준비계획이 수립되고, 시설 조직원은 지시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사료됩니다. 평가담당인력과 ..

사회복지시설 평가는 '시설의 서비스 최저기준' 준수 여부를 평가하는 것으로 바뀌어야 한다.

오늘 2014년 장애인복지관 평가 최종지표(발신: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에 대한 내부결재를 하였다. 이제부터 전국 17개 시도 장애인복지관에서는 본 자료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평가준비를 추진할 것이다. 2014.3.15.일자 블로그(http://blog.daum.net/swk3951/161)에 게재했던 ‘평가라는 단어, 뜻에 대해 바로 알자’라는 글에서 ‘평가(評價)는 목표(目標) 대비 평가대상이 되는 사물의 장점과 가치를 값 또는 수(數) 개념으로 결정(양적‧질적 측정과 가치판단)하는 (의사결정)과정’이며, 사회복지시설 평가는 ‘어떠한 목표 대비 사회복지시설의 장점과 가치를 값 또는 수(數) 개념으로 양적 또는 질적 측정을 통해 결정하는 의사결정 과정이다’라고 정의 내렸다. 그리고 위와 같이 정의 내리면서..

'평가'라는 단어, 뜻에 대해 바로 알자!

이제 ‘평가(評價, Evaluation)’는 사회복지분야에서 피할 수 없는 일상적인 업무 중 하나, 시스템 중 하나의 과정으로 되어버렸다. 물론 그 이전에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원에서 서비스 제공 단계에서 종결 또는 피드백 단계로 넘어가기 전 고객의 서비스 이용을 통한 변화 상태를 파악하는 평가 단계(사회복지서비스 담당자와 고객 상호간의 관계 속에서 파악해야 할)가 존재하고 있었지만, 지금의 평가는 복지시설과 고객이라는 관점에서의 평가가 중요시되고 있고, 복지시설과 소속 직원 상호간의 관계 속에서의 평가가 중요시되고 있는 것 같다. 이 시점에서 우리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복지시설은 ‘평가’라는 개념에 대해 곰곰이 한 번 생각해봐야하지 않겠나라는 생각이 든다. 그 이유는 사회복지분야에 만연해가는 ‘평..

2014 장애인복지관 평가지표(안)에 대한 생각

2014년도 장애인복지관 평가지표(안)을 살펴본 나의 느낌을 '긍정과 미흡'으로 구분, 정리해보았다. (긍정) 1. 평가지표가 96개에서 57개로 축소 2. A/B/C영역(시설 및 환경/재정 및 조직운영/인적자원관리) 복지관 운영 중심화 3. D영역 공통과 필수선택 그리고 특성화사업 형태의 배치 4. D영역 지표 공통화 5. E영역 간결, 핵심화 (미흡) 1. 평가 대상 제외 사업 영역을 만드는 이유를 모르겠음. (*복지관별로 '특화'라는 측면을 너무 협소하게 적용하려고 하는 것은 아닌가? 특성화사업으로 선택하게끔 유도해도 될 부분인데...) 2. 복지관 유형별 사업선택 기준표 대비 '종합복지관'의 경우 '특성화사업'을 1개 영역으로 제한하는 부분(*본 영역의 선택이 많아져도 문제이지만 2-3개 선택할 ..

2014년 장애인복지관 평가지표(안)을 살펴보며...

ㅎㅎㅎ 벌써 2년전이다. 2011년 6월에 장애인복지관 평가지표(안) 공청회에 참석했다가 느낀 점을 페이스북에 올렸었는데, 전진호 국장님이 '웰페어뉴스'에 기사화해도 되겠느냐고 요청하자 흔쾌히(?) OK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문뜩, 그 때 "내가 제안했던 내용들이 어느 정도 이번 평가 지표(안)에 반영되었을까?"하고 궁금해서 웰페어뉴스에서 기사를 열고 대충 비교분석을 해보았다. 2년 전 주장(?)했던 내용이 7가지 유형이었던 같다. 1. 4회까지 평가지표가 복지관 운영 또는 사업관련 지침을 평가지표화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를 탈피하여 - 평가의 목적을 재설정 - 지역사회재활센터로서 지역사회복지증진을 위한 복지관의 기능과 역할을 점검, 측정 및 제시할 수 있는 형태의 평가지표가 연구, 개발되었으면 좋겠다. ..

사회복지시설 평가 기준 이렇게 바꾸자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에서 장애인복지관 서비스 최저기준(안) 마련을 위해 2013년 4월11일(목)에 전국장애인복지관 종사자 대상으로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다. 그 토론회에서 총신대학교 백은령교수, 시립서대문농아인복지관 이정자 국장, 충청남도시각장애인복지관 백혜련 사무국장, 보건복지부 장애인권익지원과 차현미 과장이 필자와 함께 토론발표를 하였는데 그 때 발표했던 내용을 재정리해서 올려봅니다. 사회복지현장이 '서비스 최저기준'과 '서비스 평가'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왜, 부정적으로 마주하고 있는지에 대해 저 개인적 사견 하에 접근해보았습니다. 본 내용과 관련하여 많은 분들과 함께 앞으로 지속적 대화를 나눌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1. 들어가며 일을 논리적으로 추진하고 하고자 하면 용어에 대한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