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인 나는/사회복지사의 사상

(사상) 111. 21세기 사회복지사에게 필요한 것은 문명적 자각이다.

강호철 2017. 11. 13. 13:44

 

 

 

 

 

 

 

 

 

 

 

 

 

 

 

사회제도나 사회구조의 결함모순으로 발생하는 실업문제주택문제인구문제 등 개인의 일상생활에 직접 관계되는 사항에 대해 그 수가 증가하여 사회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 경우에 이것을 사회문제라고 한다

 

종종 사회문제는 근대에 들어 발생하였다고 하지만 빈곤자나 실업자는 어느 시대에나 존재하였다중요한 것은 오히려 문제 요인의 변화이다빈곤이나 실업이 개인의 능력이나 시정운에만 의한다면 아무리 그 수가 증가해도 사회문제가 되지는 않는다개인적인 문제의 원인 및 해결의 책임이 사회자체에 있어야 비로소 사회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 요인의 변화의 근저에는 다양한 개인을 포함한 전체로서의 사회의 이념이나 인간이 사회를 개량할 수 있다는 진보의 이념이 존재한다. (네이버지식백과 / 21세기 정치학대사전)

 

 

 

사회 문제는 사회가 변동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변화가 기존의 질서와 충돌하면서 발생하기도 하고,

사회 구조자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 때문에 생겨나기도 한다.

 

 

 

사회 문제는 발생 원인이 사회에 있고, 

사회 구성원 대다수가 문제라고 여기는 사회 현상 중 인간의 노력으로 해결 가능한 것을 말한다.

 

 

 

20세기 국가는 사회주의와 복지국가라는 2가지 방향으로 문제해결을 도모하였으며, 

일본에서는 1961년에 국민 총보험체제에 의한 복지국가가 실현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이들 2가지 국가체제는 모두 기능부전에 빠져 있어 

개인의 생활 위험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네이버지식백과 / 21세기 정치학대사전)

 

 

 

사회문제의 해결이란

'일상생활의 안심과 보장의 확보'로 이것은 '사회통합의 열쇠'라고도 할 수 있다. 

 

 

 

 

 

 

 

 

 

 

 

 

 

 

 

 

 

 

 

 

 

 

 

 

 

 

 

 

 

1. 현대 사회 문제의 복합성: 현대 사회의 사회 문제는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므로 그 원인을 구분하기 어렵다.

2. 현대 사회 문제의 광범위한 영향력: 세계화와 정보화로 인해 현대 사회에서는 사회 문제의 영향이 국경을 초월하여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 나타나고 있다.

3. 현대 사회 문제의 빠른 변화 속도: 현대 사회의 사회 문제는 복잡하고 변화 속도가 빨라 전개 양상을 예측하기 어렵다.

 

 

 

 

 

 

 

 

 

 

 

 

 

 

 

 

 

 

1. 기능론적 관점의 사회문제: 기능론적 관점에서 보면, 사회 문제란 사회 전체의 결함 때문이 아니라, 사회 체제 중 일부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사회 문제는 개인, 가족, 일부 집단의 문화, 일부 사회 제도에 그 원인이 있으며 사회 전체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 이러한 기능주의에 입각하여 보는 시각 중 일부는 다른 명칭을 가지고 있다. 사회 병리론, 사회 해체론, 사회 변동론, 일탈 행위론, 하위 문화론, 차별 교제론 등은 일반적으로 기능주의 시각에 서 있다고 지적된다. , 사회 병리론·일탈 행위론·하위 문화론·차별 교제론은 일부 개인이나 사회 환경으로 말미암아 사회화가 잘못된 경우 사회 문제가 발생한다고 보고 있으며, 사회 해체론·사회 변동론은 사회 변화로 인하여 사회 체계의 부분들이 부조화됨으로써 사회 문제가 발생한다고 본다.

 

2. 갈등론적 관점의 사회문제: 이 이론에서 사회 문제란 경제적 자원, 권력, 희소 자원의 불균등한 소유로 인하여 발생하는 갈등 현상을 가리키며, 이러한 사회 문제는 희소 자원의 불균등한 배분 상태나 그러한 상태를 초래하는 사회 체제 때문에 발생한다고 본다. 갈등주의적 시각을 공유하는 것으로 가치 갈등론과 사회 긴장론이 있다. 가치 갈등론은 사회에는 다양한 가치관을 가진 집단들이 있는데, 이들 집단 간에 자신들의 가치관을 사회의 주도적 가치관이 되도록 권력투쟁을 벌여 어느 집단이 우위를 차지하게 되면 가치관과 관련된 문제가 사회 문제로 등장하게 된다는 것이다. , 자신들의 가치관을 사회에 전하는 과정에서 다른 집단의 가치관과 관련된 문제를 사회 문제로 규정한다는 것이다. 사회 긴장론은 사회적 관계에서 개인 간 혹은 집단 간에 불화, 대립, 알력, 투쟁 등으로 나타나는 긴장 상태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긴장 상태를 사회 문제라고 본다.

 

 

 

3. 상징적 상호 작용론적 관점의 사회문제: 개인들은 자신이 처한 현재 상황이나 현재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행동을 주관적으로 정의하고 해석한다. 이 이론에서 사회 문제란, 한 사회 집단이 이러한 해석과 의미 부여에 대하여 동의하지 않고 다른 패턴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볼 때, 사회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사회에서 어떠한 행동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부여하는 의미에 대하여 동의하지 않는 것, 일반적이지 않은 행동에 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고 낙인을 찍는 것, 사회화가 다른 의미로 이루어진 것 또는 사용하는 상징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상징적 상호 작용 이론을 사회적 일탈 행위에 적용한 것이 낙인 이론이다. 낙인 이론은, 어떤 현상이나 행위가 사회 문제로 되는 것은 일반 대중이나 사회 통제 기관이 관심을 가지면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하기 때문이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