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공동체 조성을 위하여/건강한 지역사회

교사(또는 학교)와 학생 상호간 관계 개선 필요.

강호철 2015. 7. 16. 13:21

 

오늘 '세계일보(2015.7.16)'를 보니 '초등학생에게 "악마가 씌어 말을 듣지 않는다" 막말하고 책상 찬 교사'라는 타이틀의 기사가 게재되어 있네요. 

 

그 내용을 들여다 보니 < 초등학교 교사가 자신의 말을 듣지 않는다고 학생을 향해 '악마가 씌었다'고 막말을 해 파문이 일고 있다. 또 학생을 혼자 앉게 하고 책상을 발로 차는 바람에 얼굴을 다치기도 했다며 학부모가 경찰에 고소하고 관할 교육청에 진정서를 냈다고 YTN이 전했다. > 라고 되어 있습니다.

 

문제죠?!

그럼 뭐가 문제일까요? 우리나라 사회의 `경쟁주의`가 아닐까요.

 

(세계일보 / 2015.7.16)

 

학교로부터 사회로까지 '경쟁'이 우선이 되고 있는 21세기 한국 사회문화....


이 문화 속에서 '학교와 교사'의 가치는 점점 미약해지고 있고...
그렇지만 '학교와 교사'는 이와 같은 사실을 받아들이기도, 인정하고도 싶지 않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부모와 자식 사이에서 자식이 부모의 존재가치를 인정하지 않으려고 할때 부모는 자식을 타이르기 보다는 '지위와 파워'를 먼저 이용하려고 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세계일보 기사를 보면 해당 < 담임교사는 "아이가 책상과 의자를 차고 욕을 하길래 그 행동은 안 좋다는 점을 직접 보여주려고 아이가 한 대로 그대로 했다"면서 "아이는 어리고 제가 힘이 세다 보니까 그렇게 됐다"고 책상을 찬 행동은 시인했다. >고 합니다.

 

물론, 학교와 교사 또한 '경쟁주의'에 의해 '성적 올림'이라는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 인정합니다. 학생 또한 같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죠. 결국 동일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양자간의 행복하지 못한 모습의 연출이 되고 있는 것인데... 어떻게 하면 이것을 해소시켜나갈 수 있을까요? 누가 먼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만들어내야 할까요? 제도의 변화만 마냥 기다려야 할까요? (시도교육감의 교육정책에만 또는 우리나라 교육정책 변화에만 의존하는 수동적 모습은 안되겠죠.)

 

본 기사에 의하면 < "어느날 아이가 '엄마 나 정신병원 가야 되잖아요'라고 말을 해 무슨 말이냐고 물었다"면서 "아이가 '선생님이 저한테 악마가 있기 때문에 빨리 정신병원 가서 치료해야 된다고 얘기했다'며 가슴이 철렁 내려 앉았다"고 호소했다. 또 학교 공지사항과 준비물 등을 위해 학생들이 적는 알림장에 아이가 담임교사의 지시에 따라 자신의 잘못을 적어 놓았고 학교에서 '죽고 싶다'는 말을 자주 했다는 사실까지 써 놓았다고 분개했다 >라는 학부모의 말과 그 심정이 실려 있습니다.

 

저는 저의 삶 방식에 빗대어 '싸움을 했을 경우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자잘못을 따지지 않고 먼저 화해의 손길을 내밀어야 관계는 개선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학교 현장의 문제는 교사(또는 학교)가 먼저 손을 내밀어야 할까요, 학생이 먼저 손을 내밀어야 할까요?

 

현장에서 변화가 있어야 그 다음에 제도가 변하고 사회문화가 바뀌는데 말이죠. 현장에서의 변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이와 같은 충돌은 앞으로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정말 염려되는 점인 것이죠~!

 

이번 사태로 다시 교육현장에서는 교사에게 '이러면 안 된다. 이렇게 해서는 안된다 등'과 같은 형태의 지침이 내려가고 교육 등이 전개되겠죠, 예방한다고 말입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제 조치가 변화를 위한 제 조치가 아니라는 점을 정말 간과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조치는 '땜질'에 불과한 것이죠. 이미 둑은 구멍이 숭숭 터지기 시작했는데, 그 구멍을 그때 그때마다 틀어막는다고해서 그 둑이 터지지 않을까요. 아뇨. 반드시 터진답니다. 둑이 터지면 정말 많은 사람이 다치게 되잖아요. 그러니까 '땜질'이 아닌 '변화를 위한 시도,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이와 같은 변화를 위한 시도, 노력은 교육현장의 교사 한 분, 한 분에게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바람이 가정을 경유해서 제도 변화까지 이끌어내야 하는 것이죠. [끝]